이미지 확대
하루 1잔의 커피가 심방세동 환자의 재발 위험을 39% 낮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23rf
하루 1잔의 커피가 심방세동 환자의 재발 위험을 39% 낮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23rf
하루 커피 한 잔이 심방세동 환자의 재발 위험을 크게 낮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커피를 완전히 끊은 환자들보다 매일 커피를 마신 환자들의 재발률이 39%나 낮았다.
미국의사협회지(JAMA)에 지난 9일 게재된 미국 캘리포니아대와 호주 애들레이드대, 캐나다 토론토대 공동 연구진의 논문에 따르면, 심방세동 환자가 커피를 마실 경우 증상 재발 위험이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심방세동은 심장의 위쪽 방인 심방이 불규칙하게 빠르게 뛰는 부정맥의 일종이다. 뇌졸중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금까지 일부 의료진은 심방세동 환자에게 커피를 삼가라고 권고해왔다. 하지만 이번 연구는 오히려 적당한 커피 섭취가 환자에게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입증했다.
연구진은 2021년 11월부터 2024년 12월까지 미국, 캐나다, 호주의 5개 병원에서 지속성 심방세동을 앓고 있거나 최근 5년 이내 심방세동 병력이 있는 환자 200명을 대상으로 임상시험을 실시했다.
모든 참가자는 평소 커피를 마시던 사람들로, 전기적 심율동전환술(심장 리듬을 정상으로 되돌리는 치료)을 받을 예정인 환자들이었다.
연구진은 환자들을 무작위로 두 그룹으로 나눴다. 한 그룹(100명)은 매일 최소 1잔 이상의 카페인 커피를 마시도록 했고, 다른 그룹(100명)은 카페인 커피는 물론 디카페인 커피와 카페인이 들어간 모든 제품을 완전히 끊도록 했다. 이후 6개월간 심방세동이나 심방조동의 재발 여부를 추적 관찰했다.
참가자들의 평균 연령은 69세였고, 71%가 남성이었다. 연구 시작 전 두 그룹 모두 주당 평균 7잔의 커피를 마셨다.
6개월간의 추적 관찰 결과, 커피를 마신 그룹은 주당 평균 7잔을 섭취했고, 커피를 끊은 그룹은 0잔을 유지했다. 두 그룹 사이에는 주당 약 7잔의 차이가 발생했다.
커피를 마신 그룹에서는 47%의 환자가 심방세동이나 심방조동이 재발한 반면, 커피를 끊은 그룹에서는 64%가 재발했다. 이는 커피를 마신 그룹의 재발 위험이 39% 낮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심방세동만을 따로 분석했을 때도 비슷한 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두 그룹 사이에 부작용 발생률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김성은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