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종별 구분 적용·최저임금 동결 요구 외면”
이미지 확대
11일 서울 마포구 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 2025년 최저임금 안내판이 놓여 있다. 연합뉴스
11일 서울 마포구 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 2025년 최저임금 안내판이 놓여 있다. 연합뉴스
내년 시간당 최저임금이 올해보다 2.9% 인상된 1만 320원으로 결정되자 중소기업중앙회가 “현장의 충격과 부작용은 상당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명로 중기중앙회 인력정책본부장은 11일 낸 입장문에서 “경제 복합위기 속에서 많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들이 이를 감당하지 못해 폐업을 선택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본부장은 “업종별 구분 적용과 최저임금 동결 등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요구는 외면됐다”며 “인건비 부담 증가로 고용과 사업의 지속 여부를 고민할 것이고, 일자리를 잃은 저임금 근로자들이 피해를 볼 것”이라고 지적했다.
최저임금위원회는 전날 내년 최저임금을 올해(1만 30원)보다 2.9% 오른 시간당 1만 320원으로 결정했다.
한지은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업종별 구분 적용·최저임금 동결 요구 외면”
이미지 확대
11일 서울 마포구 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 2025년 최저임금 안내판이 놓여 있다. 연합뉴스
11일 서울 마포구 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 2025년 최저임금 안내판이 놓여 있다. 연합뉴스
내년 시간당 최저임금이 올해보다 2.9% 인상된 1만 320원으로 결정되자 중소기업중앙회가 “현장의 충격과 부작용은 상당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명로 중기중앙회 인력정책본부장은 11일 낸 입장문에서 “경제 복합위기 속에서 많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들이 이를 감당하지 못해 폐업을 선택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본부장은 “업종별 구분 적용과 최저임금 동결 등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요구는 외면됐다”며 “인건비 부담 증가로 고용과 사업의 지속 여부를 고민할 것이고, 일자리를 잃은 저임금 근로자들이 피해를 볼 것”이라고 지적했다.
최저임금위원회는 전날 내년 최저임금을 올해(1만 30원)보다 2.9% 오른 시간당 1만 320원으로 결정했다.
한지은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업종별 구분 적용·최저임금 동결 요구 외면”
이미지 확대
11일 서울 마포구 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 2025년 최저임금 안내판이 놓여 있다. 연합뉴스
11일 서울 마포구 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 2025년 최저임금 안내판이 놓여 있다. 연합뉴스
내년 시간당 최저임금이 올해보다 2.9% 인상된 1만 320원으로 결정되자 중소기업중앙회가 “현장의 충격과 부작용은 상당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명로 중기중앙회 인력정책본부장은 11일 낸 입장문에서 “경제 복합위기 속에서 많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들이 이를 감당하지 못해 폐업을 선택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본부장은 “업종별 구분 적용과 최저임금 동결 등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요구는 외면됐다”며 “인건비 부담 증가로 고용과 사업의 지속 여부를 고민할 것이고, 일자리를 잃은 저임금 근로자들이 피해를 볼 것”이라고 지적했다.
최저임금위원회는 전날 내년 최저임금을 올해(1만 30원)보다 2.9% 오른 시간당 1만 320원으로 결정했다.
한지은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업종별 구분 적용·최저임금 동결 요구 외면”
이미지 확대
11일 서울 마포구 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 2025년 최저임금 안내판이 놓여 있다. 연합뉴스
11일 서울 마포구 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 2025년 최저임금 안내판이 놓여 있다. 연합뉴스
내년 시간당 최저임금이 올해보다 2.9% 인상된 1만 320원으로 결정되자 중소기업중앙회가 “현장의 충격과 부작용은 상당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명로 중기중앙회 인력정책본부장은 11일 낸 입장문에서 “경제 복합위기 속에서 많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들이 이를 감당하지 못해 폐업을 선택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본부장은 “업종별 구분 적용과 최저임금 동결 등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요구는 외면됐다”며 “인건비 부담 증가로 고용과 사업의 지속 여부를 고민할 것이고, 일자리를 잃은 저임금 근로자들이 피해를 볼 것”이라고 지적했다.
최저임금위원회는 전날 내년 최저임금을 올해(1만 30원)보다 2.9% 오른 시간당 1만 320원으로 결정했다.
한지은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