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임자 모두 육군… 공군 첫 사례
이미지 확대
김진오 공군작전사령부 부사령관
김진오 공군작전사령부 부사령관
군 당국이 공군 소장인 김진오 공군작전사령부 부사령관을 드론작전사령관 직무대리로 임명키로 한 사실이 24일 알려졌다.
정부 관계자 등에 따르면 김 소장은 25일부터 드작사령관 직무대리 임무를 수행한다. 국방부가 12·3 비상계엄 여파로 내란 특검 수사를 받는 김용대 드작사령관(육군 소장)에 대한 직무정지 조치를 지난 21일 단행한 뒤 드작사는 현재 사령관 직무대리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국방부 직할부대로 육해공군이 모두 소속된 드작사는 1·2대 사령관 모두 육군 항공병과 출신이 임명됐다. 1대 이보형 사령관은 육군항공사령관, 2대 김 사령관은 방위사업청 헬기사업부장 출신이다.
공군사관학교 42기 출신의 김 소장은 공군본부 감찰실장, 합동참모본부 작전3처장 등을 역임했다. 2023년 소장으로 진급해 공군공중기동정찰사령관과 공군작전사령부 부사령관을 맡았다.
군이 드작사 외부에 있던 공군 출신을 사령관 직무대리로 임명하는 것은 특검 수사에 적극 협조하겠다는 뜻으로도 풀이된다. 드작사 내부 관계자들도 조사 대상이 될 수 있는 만큼 사령부 외부에서 공군 출신을 직무대리로 임명해 수사에 협조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이라는 평가다.
류재민 기자
2025-07-25 3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전임자 모두 육군… 공군 첫 사례
이미지 확대
김진오 공군작전사령부 부사령관
김진오 공군작전사령부 부사령관
군 당국이 공군 소장인 김진오 공군작전사령부 부사령관을 드론작전사령관 직무대리로 임명키로 한 사실이 24일 알려졌다.
정부 관계자 등에 따르면 김 소장은 25일부터 드작사령관 직무대리 임무를 수행한다. 국방부가 12·3 비상계엄 여파로 내란 특검 수사를 받는 김용대 드작사령관(육군 소장)에 대한 직무정지 조치를 지난 21일 단행한 뒤 드작사는 현재 사령관 직무대리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국방부 직할부대로 육해공군이 모두 소속된 드작사는 1·2대 사령관 모두 육군 항공병과 출신이 임명됐다. 1대 이보형 사령관은 육군항공사령관, 2대 김 사령관은 방위사업청 헬기사업부장 출신이다.
공군사관학교 42기 출신의 김 소장은 공군본부 감찰실장, 합동참모본부 작전3처장 등을 역임했다. 2023년 소장으로 진급해 공군공중기동정찰사령관과 공군작전사령부 부사령관을 맡았다.
군이 드작사 외부에 있던 공군 출신을 사령관 직무대리로 임명하는 것은 특검 수사에 적극 협조하겠다는 뜻으로도 풀이된다. 드작사 내부 관계자들도 조사 대상이 될 수 있는 만큼 사령부 외부에서 공군 출신을 직무대리로 임명해 수사에 협조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이라는 평가다.
류재민 기자
2025-07-25 3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전임자 모두 육군… 공군 첫 사례
이미지 확대
김진오 공군작전사령부 부사령관
김진오 공군작전사령부 부사령관
군 당국이 공군 소장인 김진오 공군작전사령부 부사령관을 드론작전사령관 직무대리로 임명키로 한 사실이 24일 알려졌다.
정부 관계자 등에 따르면 김 소장은 25일부터 드작사령관 직무대리 임무를 수행한다. 국방부가 12·3 비상계엄 여파로 내란 특검 수사를 받는 김용대 드작사령관(육군 소장)에 대한 직무정지 조치를 지난 21일 단행한 뒤 드작사는 현재 사령관 직무대리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국방부 직할부대로 육해공군이 모두 소속된 드작사는 1·2대 사령관 모두 육군 항공병과 출신이 임명됐다. 1대 이보형 사령관은 육군항공사령관, 2대 김 사령관은 방위사업청 헬기사업부장 출신이다.
공군사관학교 42기 출신의 김 소장은 공군본부 감찰실장, 합동참모본부 작전3처장 등을 역임했다. 2023년 소장으로 진급해 공군공중기동정찰사령관과 공군작전사령부 부사령관을 맡았다.
군이 드작사 외부에 있던 공군 출신을 사령관 직무대리로 임명하는 것은 특검 수사에 적극 협조하겠다는 뜻으로도 풀이된다. 드작사 내부 관계자들도 조사 대상이 될 수 있는 만큼 사령부 외부에서 공군 출신을 직무대리로 임명해 수사에 협조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이라는 평가다.
류재민 기자
2025-07-25 3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전임자 모두 육군… 공군 첫 사례
이미지 확대
김진오 공군작전사령부 부사령관
김진오 공군작전사령부 부사령관
군 당국이 공군 소장인 김진오 공군작전사령부 부사령관을 드론작전사령관 직무대리로 임명키로 한 사실이 24일 알려졌다.
정부 관계자 등에 따르면 김 소장은 25일부터 드작사령관 직무대리 임무를 수행한다. 국방부가 12·3 비상계엄 여파로 내란 특검 수사를 받는 김용대 드작사령관(육군 소장)에 대한 직무정지 조치를 지난 21일 단행한 뒤 드작사는 현재 사령관 직무대리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국방부 직할부대로 육해공군이 모두 소속된 드작사는 1·2대 사령관 모두 육군 항공병과 출신이 임명됐다. 1대 이보형 사령관은 육군항공사령관, 2대 김 사령관은 방위사업청 헬기사업부장 출신이다.
공군사관학교 42기 출신의 김 소장은 공군본부 감찰실장, 합동참모본부 작전3처장 등을 역임했다. 2023년 소장으로 진급해 공군공중기동정찰사령관과 공군작전사령부 부사령관을 맡았다.
군이 드작사 외부에 있던 공군 출신을 사령관 직무대리로 임명하는 것은 특검 수사에 적극 협조하겠다는 뜻으로도 풀이된다. 드작사 내부 관계자들도 조사 대상이 될 수 있는 만큼 사령부 외부에서 공군 출신을 직무대리로 임명해 수사에 협조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이라는 평가다.
류재민 기자
2025-07-25 3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