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포천농협 직원이 고객 집에 침입해 강도짓을 벌여 구속되는 등 지역농협 사건 사고가 끊이지 않으면서 농협중앙회(이하 농협)의 내부통제 시스템이 도마에 오르고 있다.
30일 농협은 올 상반기 금융사고와 관련해 총 32건의 임직원 제재가 이뤄졌다고 자체 공시했다. 같은 기간 다른 시중은행들이 최대 6건의 금융사고를 공시한 것에 비하면 5배 이상 많은 규모다. 지난해에도 총 68건(상반기 33건, 하반기 35건)의 금융사고 제재가 발생하는 등 무더기 금융사고가 끊이지 않는 모양새다.
농협중앙회는 이에 지난해 자금지원 제한 등 범농협 차원의 내부통제와 관리책임강화 대책을 발표했다. 당시 강호동 농협중앙회장은 “윤리경영이 조직 생존의 핵심”이라며 새로운 농협을 만들겠다고 다짐했지만 해가 넘어서도 금융사고는 줄어들지 않고 있는 것이다.
농협에 유독 금융사고가 빈번한 것은 감사 체계에 문제가 있기 때문이란 지적이다. 농협중앙회에는 ▲중앙회 조직을 감사하는 감사위원회 ▲내부통제를 담당하는 준법감시인 ▲지역조합을 감사하는 조합감사위원회 등 크게 세 개의 감사 시스템이 가동되는데 다른 금융사가 금융당국 출신을 감사의 수장으로 두는 것과 달리 농협 감사 기구의 리더는 모두 자기 식구들로 채워져 있다.
강 회장은 이들 기구에 대한 인사권은 없지만, 이사회 의장을 겸하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조합감사위원장 등 주요 임원 인사는 인사추천위원회 추천 후 이사회에서 의결되는데, 이사회가 인사추천위원 위촉권도 가져 회장의 입김이 그대로 작용하는 구조다.
실제로 조합을 감사하는 조합감사위원회의 계열사인 농협하나로유통 대표직을 끝으로 퇴임한 김병수 위원장이 지난주 임명되면서 “멀쩡한 흑자 회사를 적자 회사로 만든 부적합 인물”이란 이유로 노조의 거센 반발을 샀다. 지역조합은 중앙회장을 뽑는 유권자인데 조합감사위원장이 회장의 사람이라면 감사 기능이 제대로 작동되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조직 내부를 감사하는 감사위원회 수장인 박종학 감사위원장은 맹동농협 조합장 출신이며 박병우 준법감시인 역시 1998년 농협중앙회에 입사해 근 30년을 농협에 몸담은 농협맨이다.
반면 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은행 등 5대 시중은행의 감사 책임자는 모두 금융감독원 출신이다. 국민은행 이성재, 신한은행 김철웅, 하나은행 민병진, 우리은행 양현근 상임감사위원 모두 금감원 출신이고, NH농협은행도 지난 6월 감사 수장으로 금감원 출신인 홍길 전 신한금융플러스 고문을 선임했다. 유사 조직인 새마을금고중앙회는 조합감사위원장 격인 금고감독위원장에 금융위원회 출신인 홍성기 위원장을 선임했다.
한편 고객인 80대 노부부의 아파트에 침입해 흉기로 위협하고 금품을 빼앗은 혐의를 받는 30대 농협 직원 A씨가 구속됐다. 의정부지법은 이날 “증거인멸 및 도주 우려가 있다”며 구속영장을 발부했다. A씨는 피해자가 이달 초 3억원가량의 현금을 인출했던 포천시 소재 지역농협 직원으로, 옆 창구에서 피해자가 돈을 인출하는 대화를 엿들은 것으로 조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