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경호 광주청년일경험드림 대표
지원책 등 경쟁에 밀려 전남 역유출
4년 새 청년 인구 41만→37만명 뚝
미래차 산단 등 첨단산업 고용 창출
공공주택·수당 지원 등 주거 안정화
근본적인 삶의 질 개선 뒷받침돼야
이미지 확대
8일 광주 서구 5·18기념문화센터에서 열린 2025 서울신문 주최 ‘광주·전남 인구포럼’에서 강기정 광주시장과 김성수 서울신문 대표이사 등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앞줄 왼쪽부터 한경록 광주연구원 미래전략연구실장, 이인실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장, 강 시장, 김 대표이사, 최치국 광주연구원장, 이병철 광주시 기획조정실장. 뒷줄 왼쪽부터 안동환 서울신문 ESG위원장, 백경호 광주청년일경험드림사업단 대표, 오병기 전남연구원 경제산업연구실장, 박미선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부연구위원, 김대환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 책임연구원.
광주 이지훈 기자
8일 광주 서구 5·18기념문화센터에서 열린 2025 서울신문 주최 ‘광주·전남 인구포럼’에서 강기정 광주시장과 김성수 서울신문 대표이사 등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앞줄 왼쪽부터 한경록 광주연구원 미래전략연구실장, 이인실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장, 강 시장, 김 대표이사, 최치국 광주연구원장, 이병철 광주시 기획조정실장. 뒷줄 왼쪽부터 안동환 서울신문 ESG위원장, 백경호 광주청년일경험드림사업단 대표, 오병기 전남연구원 경제산업연구실장, 박미선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부연구위원, 김대환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 책임연구원.
광주 이지훈 기자
수도권 집중으로 전국 지방 도시가 청년층 유출에 시달리는 가운데 광주는 그 충격이 특히 크다. 전문가들은 향후 5년이 ‘인구 반등’을 위한 마지막 골든타임이라며 이 시기를 놓치면 회복 불능 상태에 빠질 수 있다고 경고한다.
8일 광주에서 열린 서울신문 주최 ‘광주·전남 인구포럼’에서 백경호 광주청년일경험드림사업단 대표는 ‘광주 청년 유출 현황과 인구 확대 전략’ 발표를 통해 청년층 이동 패턴과 그에 따른 위기 요인을 짚었다.
광주 인구는 2014년 147만 8000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올해 7월 139만 8000명으로 떨어지며 11년 만에 130만명대로 추락했다. 감소세의 중심에는 청년층이 있다. 2020년 41만 4000명이던 청년 인구는 4년 만에 36만 9000명으로 줄었고 비중도 28.6%에서 26.2%로 낮아졌다. 단순한 인구 축소가 아니라 지역 경제와 사회 활력을 갉아먹는 구조적 위험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청년 인구 이동 양상도 달라졌다. 과거에는 전남 청년이 대학과 첫 직장을 위해 광주에 들어왔다가 수도권으로 빠져나가는 흐름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광주 청년이 수도권은 물론 장성·나주·화순 등 인근 전남 지역으로 향하는 ‘역유출’이 뚜렷하다. 신규 아파트와 산업단지, 현금성 지원 정책 등 인근 도시와의 경쟁에서 광주가 밀리고 있다는 얘기다. 실제 올 상반기 광주 순유출 1위 지역은 전남이었고 이어 서울·경기·충남·인천 순으로 나타났다.
인구 전문가들은 원인을 세 갈래로 짚는다. 첫째, 양질의 일자리 부족과 낮은 임금이다. 인공지능(AI)·문화콘텐츠 산업을 키운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광주는 제조업 의존도가 높아 청년 체감 효과는 미미하다. 둘째, 사회·문화적 요인이다. 수도권보다 열악한 문화·여가 인프라, 낮은 정주 만족도, 높은 주거·양육 비용이 결혼·출산을 가로막는다. 셋째, 교육·진로 문제다. 대학과 기업의 수도권 집중이 청년 조기 이탈을 부추긴다는 분석이다. 백 대표는 미국 경제학자 게리 베커의 인적 자본 이론을 인용해 “부모가 자녀 1인당 투자 비용을 고려해 출산을 줄이는 현상과 맞물려 지역 인구구조를 악화시키고 있다”고 분석했다.
광주시도 대책을 내놨다. 미래차국가산단과 AI데이터센터 조성, 2030년까지 81만명 인재 양성, 청년·신혼부부 임대주택 확대, 구직 수당·자산 형성 지원 강화 등이 그것이다. 지난해 청년 조사에서도 정착 요인으로 일자리(75%), 주거(42%), 복지(27.4%)가 꼽혔다. 근본적인 삶의 조건 개선 없이는 인구 감소 악순환을 막기 어렵다는 경고다. 백 대표는 “정책의 성패는 앞으로 5년, 즉 1990년대생이 본격적으로 출산·양육기에 진입하는 시점에 달렸다”며 “청년층이 실제로 체감할 수 있는 일자리·주거·삶의 질 개선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광주 서미애 기자
2025-09-09 1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백경호 광주청년일경험드림 대표
지원책 등 경쟁에 밀려 전남 역유출
4년 새 청년 인구 41만→37만명 뚝
미래차 산단 등 첨단산업 고용 창출
공공주택·수당 지원 등 주거 안정화
근본적인 삶의 질 개선 뒷받침돼야
이미지 확대
8일 광주 서구 5·18기념문화센터에서 열린 2025 서울신문 주최 ‘광주·전남 인구포럼’에서 강기정 광주시장과 김성수 서울신문 대표이사 등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앞줄 왼쪽부터 한경록 광주연구원 미래전략연구실장, 이인실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장, 강 시장, 김 대표이사, 최치국 광주연구원장, 이병철 광주시 기획조정실장. 뒷줄 왼쪽부터 안동환 서울신문 ESG위원장, 백경호 광주청년일경험드림사업단 대표, 오병기 전남연구원 경제산업연구실장, 박미선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부연구위원, 김대환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 책임연구원.
광주 이지훈 기자
8일 광주 서구 5·18기념문화센터에서 열린 2025 서울신문 주최 ‘광주·전남 인구포럼’에서 강기정 광주시장과 김성수 서울신문 대표이사 등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앞줄 왼쪽부터 한경록 광주연구원 미래전략연구실장, 이인실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장, 강 시장, 김 대표이사, 최치국 광주연구원장, 이병철 광주시 기획조정실장. 뒷줄 왼쪽부터 안동환 서울신문 ESG위원장, 백경호 광주청년일경험드림사업단 대표, 오병기 전남연구원 경제산업연구실장, 박미선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부연구위원, 김대환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 책임연구원.
광주 이지훈 기자
수도권 집중으로 전국 지방 도시가 청년층 유출에 시달리는 가운데 광주는 그 충격이 특히 크다. 전문가들은 향후 5년이 ‘인구 반등’을 위한 마지막 골든타임이라며 이 시기를 놓치면 회복 불능 상태에 빠질 수 있다고 경고한다.
8일 광주에서 열린 서울신문 주최 ‘광주·전남 인구포럼’에서 백경호 광주청년일경험드림사업단 대표는 ‘광주 청년 유출 현황과 인구 확대 전략’ 발표를 통해 청년층 이동 패턴과 그에 따른 위기 요인을 짚었다.
광주 인구는 2014년 147만 8000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올해 7월 139만 8000명으로 떨어지며 11년 만에 130만명대로 추락했다. 감소세의 중심에는 청년층이 있다. 2020년 41만 4000명이던 청년 인구는 4년 만에 36만 9000명으로 줄었고 비중도 28.6%에서 26.2%로 낮아졌다. 단순한 인구 축소가 아니라 지역 경제와 사회 활력을 갉아먹는 구조적 위험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청년 인구 이동 양상도 달라졌다. 과거에는 전남 청년이 대학과 첫 직장을 위해 광주에 들어왔다가 수도권으로 빠져나가는 흐름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광주 청년이 수도권은 물론 장성·나주·화순 등 인근 전남 지역으로 향하는 ‘역유출’이 뚜렷하다. 신규 아파트와 산업단지, 현금성 지원 정책 등 인근 도시와의 경쟁에서 광주가 밀리고 있다는 얘기다. 실제 올 상반기 광주 순유출 1위 지역은 전남이었고 이어 서울·경기·충남·인천 순으로 나타났다.
인구 전문가들은 원인을 세 갈래로 짚는다. 첫째, 양질의 일자리 부족과 낮은 임금이다. 인공지능(AI)·문화콘텐츠 산업을 키운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광주는 제조업 의존도가 높아 청년 체감 효과는 미미하다. 둘째, 사회·문화적 요인이다. 수도권보다 열악한 문화·여가 인프라, 낮은 정주 만족도, 높은 주거·양육 비용이 결혼·출산을 가로막는다. 셋째, 교육·진로 문제다. 대학과 기업의 수도권 집중이 청년 조기 이탈을 부추긴다는 분석이다. 백 대표는 미국 경제학자 게리 베커의 인적 자본 이론을 인용해 “부모가 자녀 1인당 투자 비용을 고려해 출산을 줄이는 현상과 맞물려 지역 인구구조를 악화시키고 있다”고 분석했다.
광주시도 대책을 내놨다. 미래차국가산단과 AI데이터센터 조성, 2030년까지 81만명 인재 양성, 청년·신혼부부 임대주택 확대, 구직 수당·자산 형성 지원 강화 등이 그것이다. 지난해 청년 조사에서도 정착 요인으로 일자리(75%), 주거(42%), 복지(27.4%)가 꼽혔다. 근본적인 삶의 조건 개선 없이는 인구 감소 악순환을 막기 어렵다는 경고다. 백 대표는 “정책의 성패는 앞으로 5년, 즉 1990년대생이 본격적으로 출산·양육기에 진입하는 시점에 달렸다”며 “청년층이 실제로 체감할 수 있는 일자리·주거·삶의 질 개선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광주 서미애 기자
2025-09-09 1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백경호 광주청년일경험드림 대표
지원책 등 경쟁에 밀려 전남 역유출
4년 새 청년 인구 41만→37만명 뚝
미래차 산단 등 첨단산업 고용 창출
공공주택·수당 지원 등 주거 안정화
근본적인 삶의 질 개선 뒷받침돼야
이미지 확대
8일 광주 서구 5·18기념문화센터에서 열린 2025 서울신문 주최 ‘광주·전남 인구포럼’에서 강기정 광주시장과 김성수 서울신문 대표이사 등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앞줄 왼쪽부터 한경록 광주연구원 미래전략연구실장, 이인실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장, 강 시장, 김 대표이사, 최치국 광주연구원장, 이병철 광주시 기획조정실장. 뒷줄 왼쪽부터 안동환 서울신문 ESG위원장, 백경호 광주청년일경험드림사업단 대표, 오병기 전남연구원 경제산업연구실장, 박미선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부연구위원, 김대환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 책임연구원.
광주 이지훈 기자
8일 광주 서구 5·18기념문화센터에서 열린 2025 서울신문 주최 ‘광주·전남 인구포럼’에서 강기정 광주시장과 김성수 서울신문 대표이사 등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앞줄 왼쪽부터 한경록 광주연구원 미래전략연구실장, 이인실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장, 강 시장, 김 대표이사, 최치국 광주연구원장, 이병철 광주시 기획조정실장. 뒷줄 왼쪽부터 안동환 서울신문 ESG위원장, 백경호 광주청년일경험드림사업단 대표, 오병기 전남연구원 경제산업연구실장, 박미선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부연구위원, 김대환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 책임연구원.
광주 이지훈 기자
수도권 집중으로 전국 지방 도시가 청년층 유출에 시달리는 가운데 광주는 그 충격이 특히 크다. 전문가들은 향후 5년이 ‘인구 반등’을 위한 마지막 골든타임이라며 이 시기를 놓치면 회복 불능 상태에 빠질 수 있다고 경고한다.
8일 광주에서 열린 서울신문 주최 ‘광주·전남 인구포럼’에서 백경호 광주청년일경험드림사업단 대표는 ‘광주 청년 유출 현황과 인구 확대 전략’ 발표를 통해 청년층 이동 패턴과 그에 따른 위기 요인을 짚었다.
광주 인구는 2014년 147만 8000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올해 7월 139만 8000명으로 떨어지며 11년 만에 130만명대로 추락했다. 감소세의 중심에는 청년층이 있다. 2020년 41만 4000명이던 청년 인구는 4년 만에 36만 9000명으로 줄었고 비중도 28.6%에서 26.2%로 낮아졌다. 단순한 인구 축소가 아니라 지역 경제와 사회 활력을 갉아먹는 구조적 위험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청년 인구 이동 양상도 달라졌다. 과거에는 전남 청년이 대학과 첫 직장을 위해 광주에 들어왔다가 수도권으로 빠져나가는 흐름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광주 청년이 수도권은 물론 장성·나주·화순 등 인근 전남 지역으로 향하는 ‘역유출’이 뚜렷하다. 신규 아파트와 산업단지, 현금성 지원 정책 등 인근 도시와의 경쟁에서 광주가 밀리고 있다는 얘기다. 실제 올 상반기 광주 순유출 1위 지역은 전남이었고 이어 서울·경기·충남·인천 순으로 나타났다.
인구 전문가들은 원인을 세 갈래로 짚는다. 첫째, 양질의 일자리 부족과 낮은 임금이다. 인공지능(AI)·문화콘텐츠 산업을 키운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광주는 제조업 의존도가 높아 청년 체감 효과는 미미하다. 둘째, 사회·문화적 요인이다. 수도권보다 열악한 문화·여가 인프라, 낮은 정주 만족도, 높은 주거·양육 비용이 결혼·출산을 가로막는다. 셋째, 교육·진로 문제다. 대학과 기업의 수도권 집중이 청년 조기 이탈을 부추긴다는 분석이다. 백 대표는 미국 경제학자 게리 베커의 인적 자본 이론을 인용해 “부모가 자녀 1인당 투자 비용을 고려해 출산을 줄이는 현상과 맞물려 지역 인구구조를 악화시키고 있다”고 분석했다.
광주시도 대책을 내놨다. 미래차국가산단과 AI데이터센터 조성, 2030년까지 81만명 인재 양성, 청년·신혼부부 임대주택 확대, 구직 수당·자산 형성 지원 강화 등이 그것이다. 지난해 청년 조사에서도 정착 요인으로 일자리(75%), 주거(42%), 복지(27.4%)가 꼽혔다. 근본적인 삶의 조건 개선 없이는 인구 감소 악순환을 막기 어렵다는 경고다. 백 대표는 “정책의 성패는 앞으로 5년, 즉 1990년대생이 본격적으로 출산·양육기에 진입하는 시점에 달렸다”며 “청년층이 실제로 체감할 수 있는 일자리·주거·삶의 질 개선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광주 서미애 기자
2025-09-09 1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백경호 광주청년일경험드림 대표
지원책 등 경쟁에 밀려 전남 역유출
4년 새 청년 인구 41만→37만명 뚝
미래차 산단 등 첨단산업 고용 창출
공공주택·수당 지원 등 주거 안정화
근본적인 삶의 질 개선 뒷받침돼야
이미지 확대
8일 광주 서구 5·18기념문화센터에서 열린 2025 서울신문 주최 ‘광주·전남 인구포럼’에서 강기정 광주시장과 김성수 서울신문 대표이사 등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앞줄 왼쪽부터 한경록 광주연구원 미래전략연구실장, 이인실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장, 강 시장, 김 대표이사, 최치국 광주연구원장, 이병철 광주시 기획조정실장. 뒷줄 왼쪽부터 안동환 서울신문 ESG위원장, 백경호 광주청년일경험드림사업단 대표, 오병기 전남연구원 경제산업연구실장, 박미선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부연구위원, 김대환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 책임연구원.
광주 이지훈 기자
8일 광주 서구 5·18기념문화센터에서 열린 2025 서울신문 주최 ‘광주·전남 인구포럼’에서 강기정 광주시장과 김성수 서울신문 대표이사 등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앞줄 왼쪽부터 한경록 광주연구원 미래전략연구실장, 이인실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장, 강 시장, 김 대표이사, 최치국 광주연구원장, 이병철 광주시 기획조정실장. 뒷줄 왼쪽부터 안동환 서울신문 ESG위원장, 백경호 광주청년일경험드림사업단 대표, 오병기 전남연구원 경제산업연구실장, 박미선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부연구위원, 김대환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 책임연구원.
광주 이지훈 기자
수도권 집중으로 전국 지방 도시가 청년층 유출에 시달리는 가운데 광주는 그 충격이 특히 크다. 전문가들은 향후 5년이 ‘인구 반등’을 위한 마지막 골든타임이라며 이 시기를 놓치면 회복 불능 상태에 빠질 수 있다고 경고한다.
8일 광주에서 열린 서울신문 주최 ‘광주·전남 인구포럼’에서 백경호 광주청년일경험드림사업단 대표는 ‘광주 청년 유출 현황과 인구 확대 전략’ 발표를 통해 청년층 이동 패턴과 그에 따른 위기 요인을 짚었다.
광주 인구는 2014년 147만 8000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올해 7월 139만 8000명으로 떨어지며 11년 만에 130만명대로 추락했다. 감소세의 중심에는 청년층이 있다. 2020년 41만 4000명이던 청년 인구는 4년 만에 36만 9000명으로 줄었고 비중도 28.6%에서 26.2%로 낮아졌다. 단순한 인구 축소가 아니라 지역 경제와 사회 활력을 갉아먹는 구조적 위험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청년 인구 이동 양상도 달라졌다. 과거에는 전남 청년이 대학과 첫 직장을 위해 광주에 들어왔다가 수도권으로 빠져나가는 흐름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광주 청년이 수도권은 물론 장성·나주·화순 등 인근 전남 지역으로 향하는 ‘역유출’이 뚜렷하다. 신규 아파트와 산업단지, 현금성 지원 정책 등 인근 도시와의 경쟁에서 광주가 밀리고 있다는 얘기다. 실제 올 상반기 광주 순유출 1위 지역은 전남이었고 이어 서울·경기·충남·인천 순으로 나타났다.
인구 전문가들은 원인을 세 갈래로 짚는다. 첫째, 양질의 일자리 부족과 낮은 임금이다. 인공지능(AI)·문화콘텐츠 산업을 키운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광주는 제조업 의존도가 높아 청년 체감 효과는 미미하다. 둘째, 사회·문화적 요인이다. 수도권보다 열악한 문화·여가 인프라, 낮은 정주 만족도, 높은 주거·양육 비용이 결혼·출산을 가로막는다. 셋째, 교육·진로 문제다. 대학과 기업의 수도권 집중이 청년 조기 이탈을 부추긴다는 분석이다. 백 대표는 미국 경제학자 게리 베커의 인적 자본 이론을 인용해 “부모가 자녀 1인당 투자 비용을 고려해 출산을 줄이는 현상과 맞물려 지역 인구구조를 악화시키고 있다”고 분석했다.
광주시도 대책을 내놨다. 미래차국가산단과 AI데이터센터 조성, 2030년까지 81만명 인재 양성, 청년·신혼부부 임대주택 확대, 구직 수당·자산 형성 지원 강화 등이 그것이다. 지난해 청년 조사에서도 정착 요인으로 일자리(75%), 주거(42%), 복지(27.4%)가 꼽혔다. 근본적인 삶의 조건 개선 없이는 인구 감소 악순환을 막기 어렵다는 경고다. 백 대표는 “정책의 성패는 앞으로 5년, 즉 1990년대생이 본격적으로 출산·양육기에 진입하는 시점에 달렸다”며 “청년층이 실제로 체감할 수 있는 일자리·주거·삶의 질 개선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광주 서미애 기자
2025-09-09 1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