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번호·유효기간·CVC번호 유출
28만명 카드 재발급 최우선 방침
실제 부정 사용 사례는 확인 안 돼
금융위 “중대한 위법… 엄정 조치”
이미지 확대
고개 숙인 롯데카드 롯데카드 임원진이 18일 서울 중구 부영태평빌딩에서 해킹으로 인한 고객 정보 유출 사태에 대해 고개 숙여 사과하고 있다. 왼쪽부터 한정욱 Digi-LOCA본부장, 구영우 금융사업본부장, 조좌진 대표, 최재웅 마케팅본부장, 임정빈 영업본부장.
이지훈 기자
고개 숙인 롯데카드
롯데카드 임원진이 18일 서울 중구 부영태평빌딩에서 해킹으로 인한 고객 정보 유출 사태에 대해 고개 숙여 사과하고 있다. 왼쪽부터 한정욱 Digi-LOCA본부장, 구영우 금융사업본부장, 조좌진 대표, 최재웅 마케팅본부장, 임정빈 영업본부장.
이지훈 기자
롯데카드에서 297만명의 고객 정보가 유출된 것으로 확인됐다.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는 이날 서울 중구 부영태평빌딩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고객 여러분과 유관 기관 여러분께 심려를 끼쳐 진심으로 죄송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롯데카드는 약 960만명의 회원을 보유한 업계 5위권 카드회사로, 전체의 약 3분의 1에 가까운 회원 정보가 유출된 셈이다.
조 대표는 “전체 유출 고객 중 유출된 고객 정보로 카드 부정 사용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고객은 총 28만명”이라며 “유출 정보 범위는 카드번호, 유효기간, CVC번호(카드 뒷면 3자리 보안코드) 등”이라고 말했다. 이들의 경우 단말기에 카드 정보를 직접 입력해 결제하는 키인(Key in) 거래 시 부정사용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이어 “해당 고객은 7월 22일과 8월 27일 사이 새로운 페이결제 서비스나 커머스 사이트에 사용 카드정보를 신규 등록한 고객”이라며 “카드 재발급 조치가 최우선적으로 이뤄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나머지 269만명의 유출 정보는 ▲온라인 상 본인 확인에 쓰이는 연계 정보(CI) ▲ 내부식별번호 ▲가상 결제코드 ▲간편결제 서비스 종류 등이다.
조 대표는 “나머지 269만명은 일부 항목만 제한적으로 유출됐다”며 “해당 정보만으로 카드 부정사용이 발생할 가능성은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보 유출은 온라인 결제 서버에 국한해 발생했고, 오프라인 결제와는 전혀 무관하다”며 “고객 성명도 유출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롯데카드는 현재까지 실제 부정 사용 사례는 확인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회사는 전체 유출 고객을 대상으로 연말까지 무이자 10개월 할부, 거래 알림 서비스 무료 제공, 금융피해 보상 서비스 지원을 약속했다. 특히 28만명은 카드 재발급을 우선 추진하고 차년도 연회비를 전액 면제하기로 했다. 조 대표가 이날 직접 언급한 연회비 면제 비용만 최소 56억원에 달한다. 그는 “발생 가능한 2차 피해까지 포함해 전액 보상하겠다”며 “고객 피해 ‘제로화’를 최우선 과제로 삼겠다”고 강조했다.
금융위원회는 이날 긴급 대책회의를 열고 이번 사고를 “중대한 위법”으로 규정했다. “사실관계를 신속히 확정한 뒤 법 위반 사항에 대해 엄정히 조치하겠다”고 했다. 현행 여신전문금융업법상 개인정보 유출로 신용질서를 어지럽힌 경우 최대 6개월 영업정지와 수백억원대 과징금이 가능하다.
김예슬 기자
2025-09-19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카드번호·유효기간·CVC번호 유출
28만명 카드 재발급 최우선 방침
실제 부정 사용 사례는 확인 안 돼
금융위 “중대한 위법… 엄정 조치”
이미지 확대
고개 숙인 롯데카드 롯데카드 임원진이 18일 서울 중구 부영태평빌딩에서 해킹으로 인한 고객 정보 유출 사태에 대해 고개 숙여 사과하고 있다. 왼쪽부터 한정욱 Digi-LOCA본부장, 구영우 금융사업본부장, 조좌진 대표, 최재웅 마케팅본부장, 임정빈 영업본부장.
이지훈 기자
고개 숙인 롯데카드
롯데카드 임원진이 18일 서울 중구 부영태평빌딩에서 해킹으로 인한 고객 정보 유출 사태에 대해 고개 숙여 사과하고 있다. 왼쪽부터 한정욱 Digi-LOCA본부장, 구영우 금융사업본부장, 조좌진 대표, 최재웅 마케팅본부장, 임정빈 영업본부장.
이지훈 기자
롯데카드에서 297만명의 고객 정보가 유출된 것으로 확인됐다.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는 이날 서울 중구 부영태평빌딩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고객 여러분과 유관 기관 여러분께 심려를 끼쳐 진심으로 죄송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롯데카드는 약 960만명의 회원을 보유한 업계 5위권 카드회사로, 전체의 약 3분의 1에 가까운 회원 정보가 유출된 셈이다.
조 대표는 “전체 유출 고객 중 유출된 고객 정보로 카드 부정 사용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고객은 총 28만명”이라며 “유출 정보 범위는 카드번호, 유효기간, CVC번호(카드 뒷면 3자리 보안코드) 등”이라고 말했다. 이들의 경우 단말기에 카드 정보를 직접 입력해 결제하는 키인(Key in) 거래 시 부정사용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이어 “해당 고객은 7월 22일과 8월 27일 사이 새로운 페이결제 서비스나 커머스 사이트에 사용 카드정보를 신규 등록한 고객”이라며 “카드 재발급 조치가 최우선적으로 이뤄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나머지 269만명의 유출 정보는 ▲온라인 상 본인 확인에 쓰이는 연계 정보(CI) ▲ 내부식별번호 ▲가상 결제코드 ▲간편결제 서비스 종류 등이다.
조 대표는 “나머지 269만명은 일부 항목만 제한적으로 유출됐다”며 “해당 정보만으로 카드 부정사용이 발생할 가능성은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보 유출은 온라인 결제 서버에 국한해 발생했고, 오프라인 결제와는 전혀 무관하다”며 “고객 성명도 유출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롯데카드는 현재까지 실제 부정 사용 사례는 확인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회사는 전체 유출 고객을 대상으로 연말까지 무이자 10개월 할부, 거래 알림 서비스 무료 제공, 금융피해 보상 서비스 지원을 약속했다. 특히 28만명은 카드 재발급을 우선 추진하고 차년도 연회비를 전액 면제하기로 했다. 조 대표가 이날 직접 언급한 연회비 면제 비용만 최소 56억원에 달한다. 그는 “발생 가능한 2차 피해까지 포함해 전액 보상하겠다”며 “고객 피해 ‘제로화’를 최우선 과제로 삼겠다”고 강조했다.
금융위원회는 이날 긴급 대책회의를 열고 이번 사고를 “중대한 위법”으로 규정했다. “사실관계를 신속히 확정한 뒤 법 위반 사항에 대해 엄정히 조치하겠다”고 했다. 현행 여신전문금융업법상 개인정보 유출로 신용질서를 어지럽힌 경우 최대 6개월 영업정지와 수백억원대 과징금이 가능하다.
김예슬 기자
2025-09-19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카드번호·유효기간·CVC번호 유출
28만명 카드 재발급 최우선 방침
실제 부정 사용 사례는 확인 안 돼
금융위 “중대한 위법… 엄정 조치”
이미지 확대
고개 숙인 롯데카드 롯데카드 임원진이 18일 서울 중구 부영태평빌딩에서 해킹으로 인한 고객 정보 유출 사태에 대해 고개 숙여 사과하고 있다. 왼쪽부터 한정욱 Digi-LOCA본부장, 구영우 금융사업본부장, 조좌진 대표, 최재웅 마케팅본부장, 임정빈 영업본부장.
이지훈 기자
고개 숙인 롯데카드
롯데카드 임원진이 18일 서울 중구 부영태평빌딩에서 해킹으로 인한 고객 정보 유출 사태에 대해 고개 숙여 사과하고 있다. 왼쪽부터 한정욱 Digi-LOCA본부장, 구영우 금융사업본부장, 조좌진 대표, 최재웅 마케팅본부장, 임정빈 영업본부장.
이지훈 기자
롯데카드에서 297만명의 고객 정보가 유출된 것으로 확인됐다.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는 이날 서울 중구 부영태평빌딩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고객 여러분과 유관 기관 여러분께 심려를 끼쳐 진심으로 죄송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롯데카드는 약 960만명의 회원을 보유한 업계 5위권 카드회사로, 전체의 약 3분의 1에 가까운 회원 정보가 유출된 셈이다.
조 대표는 “전체 유출 고객 중 유출된 고객 정보로 카드 부정 사용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고객은 총 28만명”이라며 “유출 정보 범위는 카드번호, 유효기간, CVC번호(카드 뒷면 3자리 보안코드) 등”이라고 말했다. 이들의 경우 단말기에 카드 정보를 직접 입력해 결제하는 키인(Key in) 거래 시 부정사용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이어 “해당 고객은 7월 22일과 8월 27일 사이 새로운 페이결제 서비스나 커머스 사이트에 사용 카드정보를 신규 등록한 고객”이라며 “카드 재발급 조치가 최우선적으로 이뤄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나머지 269만명의 유출 정보는 ▲온라인 상 본인 확인에 쓰이는 연계 정보(CI) ▲ 내부식별번호 ▲가상 결제코드 ▲간편결제 서비스 종류 등이다.
조 대표는 “나머지 269만명은 일부 항목만 제한적으로 유출됐다”며 “해당 정보만으로 카드 부정사용이 발생할 가능성은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보 유출은 온라인 결제 서버에 국한해 발생했고, 오프라인 결제와는 전혀 무관하다”며 “고객 성명도 유출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롯데카드는 현재까지 실제 부정 사용 사례는 확인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회사는 전체 유출 고객을 대상으로 연말까지 무이자 10개월 할부, 거래 알림 서비스 무료 제공, 금융피해 보상 서비스 지원을 약속했다. 특히 28만명은 카드 재발급을 우선 추진하고 차년도 연회비를 전액 면제하기로 했다. 조 대표가 이날 직접 언급한 연회비 면제 비용만 최소 56억원에 달한다. 그는 “발생 가능한 2차 피해까지 포함해 전액 보상하겠다”며 “고객 피해 ‘제로화’를 최우선 과제로 삼겠다”고 강조했다.
금융위원회는 이날 긴급 대책회의를 열고 이번 사고를 “중대한 위법”으로 규정했다. “사실관계를 신속히 확정한 뒤 법 위반 사항에 대해 엄정히 조치하겠다”고 했다. 현행 여신전문금융업법상 개인정보 유출로 신용질서를 어지럽힌 경우 최대 6개월 영업정지와 수백억원대 과징금이 가능하다.
김예슬 기자
2025-09-19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카드번호·유효기간·CVC번호 유출
28만명 카드 재발급 최우선 방침
실제 부정 사용 사례는 확인 안 돼
금융위 “중대한 위법… 엄정 조치”
이미지 확대
고개 숙인 롯데카드 롯데카드 임원진이 18일 서울 중구 부영태평빌딩에서 해킹으로 인한 고객 정보 유출 사태에 대해 고개 숙여 사과하고 있다. 왼쪽부터 한정욱 Digi-LOCA본부장, 구영우 금융사업본부장, 조좌진 대표, 최재웅 마케팅본부장, 임정빈 영업본부장.
이지훈 기자
고개 숙인 롯데카드
롯데카드 임원진이 18일 서울 중구 부영태평빌딩에서 해킹으로 인한 고객 정보 유출 사태에 대해 고개 숙여 사과하고 있다. 왼쪽부터 한정욱 Digi-LOCA본부장, 구영우 금융사업본부장, 조좌진 대표, 최재웅 마케팅본부장, 임정빈 영업본부장.
이지훈 기자
롯데카드에서 297만명의 고객 정보가 유출된 것으로 확인됐다.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는 이날 서울 중구 부영태평빌딩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고객 여러분과 유관 기관 여러분께 심려를 끼쳐 진심으로 죄송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롯데카드는 약 960만명의 회원을 보유한 업계 5위권 카드회사로, 전체의 약 3분의 1에 가까운 회원 정보가 유출된 셈이다.
조 대표는 “전체 유출 고객 중 유출된 고객 정보로 카드 부정 사용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고객은 총 28만명”이라며 “유출 정보 범위는 카드번호, 유효기간, CVC번호(카드 뒷면 3자리 보안코드) 등”이라고 말했다. 이들의 경우 단말기에 카드 정보를 직접 입력해 결제하는 키인(Key in) 거래 시 부정사용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이어 “해당 고객은 7월 22일과 8월 27일 사이 새로운 페이결제 서비스나 커머스 사이트에 사용 카드정보를 신규 등록한 고객”이라며 “카드 재발급 조치가 최우선적으로 이뤄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나머지 269만명의 유출 정보는 ▲온라인 상 본인 확인에 쓰이는 연계 정보(CI) ▲ 내부식별번호 ▲가상 결제코드 ▲간편결제 서비스 종류 등이다.
조 대표는 “나머지 269만명은 일부 항목만 제한적으로 유출됐다”며 “해당 정보만으로 카드 부정사용이 발생할 가능성은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보 유출은 온라인 결제 서버에 국한해 발생했고, 오프라인 결제와는 전혀 무관하다”며 “고객 성명도 유출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롯데카드는 현재까지 실제 부정 사용 사례는 확인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회사는 전체 유출 고객을 대상으로 연말까지 무이자 10개월 할부, 거래 알림 서비스 무료 제공, 금융피해 보상 서비스 지원을 약속했다. 특히 28만명은 카드 재발급을 우선 추진하고 차년도 연회비를 전액 면제하기로 했다. 조 대표가 이날 직접 언급한 연회비 면제 비용만 최소 56억원에 달한다. 그는 “발생 가능한 2차 피해까지 포함해 전액 보상하겠다”며 “고객 피해 ‘제로화’를 최우선 과제로 삼겠다”고 강조했다.
금융위원회는 이날 긴급 대책회의를 열고 이번 사고를 “중대한 위법”으로 규정했다. “사실관계를 신속히 확정한 뒤 법 위반 사항에 대해 엄정히 조치하겠다”고 했다. 현행 여신전문금융업법상 개인정보 유출로 신용질서를 어지럽힌 경우 최대 6개월 영업정지와 수백억원대 과징금이 가능하다.
김예슬 기자
2025-09-19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