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물 호우’에 벼·고추·멜론 등 수해
닭·오리·돼지 등 157만 마리 폐사
이미지 확대
괴물 호우가 서울 면적의 절반에 이르는 농경지를 집어삼켰다. 가뜩이나 들썩이던 밥상 물가에 경고등이 켜졌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이번 집중호우로 지난 20일 기준 벼 등 농작물 2만 8491㏊가 침수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21일 밝혔다. 서울 전체 면적(6만 500㏊)의 절반에 가까운 규모다. 지역별로 보면 충남이 1만 6710㏊로 가장 컸다. 이어 전남 7612㏊, 경남 3731㏊ 순이었다. 폭우가 이어진 기간은 닷새뿐이지만 2020년 피해 규모(3만 3492㏊)의 85%에 이르는 농경지가 물에 잠겼다. 2020년은 54일간 장마가 이어져 역대 2위 강수량을 기록했던 해다.
수해가 가장 큰 작물은 벼다. 전체 피해 농경지의 88%에 이른다. 논 2만 5065㏊가 물에 잠겼는데, 이는 전체 벼 재배 면적의 3.8% 수준이다. 이 외에도 ▲논콩 2050㏊ ▲고추 227㏊ ▲멜론 140㏊ ▲수박 133㏊ ▲딸기 110㏊ ▲쪽파 96㏊ ▲대파 83㏊ 등 주요 채소와 과일이 수해를 입었다. 가축 피해도 컸다. 닭 142만 9000마리, 오리 13만 9000마리, 돼지 855마리, 소 678마리 등 약 157만 마리가 폐사했다.
먹거리 물가가 이미 고공 행진하던 상황에서 수급 불안정이 겹치면서 물가 불안은 더 커졌다. 대표적으로 수박 1통의 지난 18일 기준 가격은 3만 866원으로 이미 1년 전보다 44.7% 치솟은 상태였다. 멜론 1개 가격은 9995원으로 20.7% 뛴 상태였다. 수박과 멜론은 부여(수박), 담양·곡성(멜론) 등지의 침수 피해와 제철 과일 수요가 겹쳐 당분간 높은 가격이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과거에도 집중호우는 물가를 끌어올린 주범이었다. 2023년 6~7월 장마 기간 폭우가 이어지면서 농축산물을 중심으로 물가가 치솟았다. 같은 해 8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4%로 전월보다 1.1% 포인트 뛰어올랐다. 당시 식료품의 물가 상승률 기여도가 가장 높았다.
정부도 대책 마련에 나섰다. 농식품부는 모종을 기르는 단계에서 피해를 본 딸기는 9월 정식(아주심기)에 대비해 피해가 없는 지역에서 모종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농식품부는 “멜론과 수박, 쪽파는 당분간 공급이 줄어들 전망”이라면서 “품목별 피해 양상 등을 파악해 수급에 미치는 영향이 최소화되도록 관리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세종 강동용 기자
2025-07-22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괴물 호우’에 벼·고추·멜론 등 수해
닭·오리·돼지 등 157만 마리 폐사
이미지 확대
괴물 호우가 서울 면적의 절반에 이르는 농경지를 집어삼켰다. 가뜩이나 들썩이던 밥상 물가에 경고등이 켜졌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이번 집중호우로 지난 20일 기준 벼 등 농작물 2만 8491㏊가 침수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21일 밝혔다. 서울 전체 면적(6만 500㏊)의 절반에 가까운 규모다. 지역별로 보면 충남이 1만 6710㏊로 가장 컸다. 이어 전남 7612㏊, 경남 3731㏊ 순이었다. 폭우가 이어진 기간은 닷새뿐이지만 2020년 피해 규모(3만 3492㏊)의 85%에 이르는 농경지가 물에 잠겼다. 2020년은 54일간 장마가 이어져 역대 2위 강수량을 기록했던 해다.
수해가 가장 큰 작물은 벼다. 전체 피해 농경지의 88%에 이른다. 논 2만 5065㏊가 물에 잠겼는데, 이는 전체 벼 재배 면적의 3.8% 수준이다. 이 외에도 ▲논콩 2050㏊ ▲고추 227㏊ ▲멜론 140㏊ ▲수박 133㏊ ▲딸기 110㏊ ▲쪽파 96㏊ ▲대파 83㏊ 등 주요 채소와 과일이 수해를 입었다. 가축 피해도 컸다. 닭 142만 9000마리, 오리 13만 9000마리, 돼지 855마리, 소 678마리 등 약 157만 마리가 폐사했다.
먹거리 물가가 이미 고공 행진하던 상황에서 수급 불안정이 겹치면서 물가 불안은 더 커졌다. 대표적으로 수박 1통의 지난 18일 기준 가격은 3만 866원으로 이미 1년 전보다 44.7% 치솟은 상태였다. 멜론 1개 가격은 9995원으로 20.7% 뛴 상태였다. 수박과 멜론은 부여(수박), 담양·곡성(멜론) 등지의 침수 피해와 제철 과일 수요가 겹쳐 당분간 높은 가격이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과거에도 집중호우는 물가를 끌어올린 주범이었다. 2023년 6~7월 장마 기간 폭우가 이어지면서 농축산물을 중심으로 물가가 치솟았다. 같은 해 8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4%로 전월보다 1.1% 포인트 뛰어올랐다. 당시 식료품의 물가 상승률 기여도가 가장 높았다.
정부도 대책 마련에 나섰다. 농식품부는 모종을 기르는 단계에서 피해를 본 딸기는 9월 정식(아주심기)에 대비해 피해가 없는 지역에서 모종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농식품부는 “멜론과 수박, 쪽파는 당분간 공급이 줄어들 전망”이라면서 “품목별 피해 양상 등을 파악해 수급에 미치는 영향이 최소화되도록 관리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세종 강동용 기자
2025-07-22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