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하반기 헌법 개정특위 구성”
“제헌절 공휴일 재지정도 제안”
이미지 확대
우원식 국회의장이 1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77주년 제헌절 경축식에서 경축사를 하고 있다. 2025.7.17 국회 사진기자단
우원식 국회의장이 1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77주년 제헌절 경축식에서 경축사를 하고 있다. 2025.7.17 국회 사진기자단
우원식 국회의장은 17일 제헌절 경축사에서 “전면적 개헌보다 단계적이고 연속적인 개헌으로 국회와 정부, 국민이 모두 흔쾌히 동의할 수 있는 최소 수준의 개헌으로 첫발을 떼는 것이 꼭 필요하다”고 밝혔다.
우 의장은 이날 국회 로텐더홀에서 열린 제77주년 제헌절 경축식에서 “더 늦기 전에 시작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우 의장은 “국회와 정부, 국민이 함께 만드는 헌법을 목표로 개헌 시기와 방식, 절차를 검토하겠다”며 “올 하반기에는 국회 헌법 개정특위를 구성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국민투표법 개정, 국민이 개헌 방향과 내용에 참여할 방안 마련, 헌법 개정안 성안, 세 가지가 필요하다”며 “개헌의 물꼬를 트는 것이 가장 중요한 만큼 헌법 개정안은 우선 합의할 수 있는 것까지만 담는다는 목표를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미지 확대

‘12·3 계엄 해제’ 상징석 글귀 읽는 우원식 의장 우원식 국회의장이 17일 국회 잔디마당에서 열린 제77주년 제헌절 기념 상징석 제막식에서 상징석 글귀를 읽고 있다. 2025.7.17 [국회 사진기자단]
‘12·3 계엄 해제’ 상징석 글귀 읽는 우원식 의장
우원식 국회의장이 17일 국회 잔디마당에서 열린 제77주년 제헌절 기념 상징석 제막식에서 상징석 글귀를 읽고 있다. 2025.7.17 [국회 사진기자단]
우 의장은 5·18 정신 헌법 전문 수록, 비상계엄 선포·해제 절차의 민주적 통제 장치, 국회 권한 강화 등을 예시로 들었다.
우 의장은 “단 한 가지를 개정하더라도 하지 않는 것보다는 훨씬 좋다”며 “개헌을 통해서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개혁과 민생의 제도적 기반을 만들어가자”고 촉구했다.
우 의장은 또 “제헌절을 공휴일로 재지정하는 일도 서두르자”고 제안했다. 우 의장은 “헌법의 중요성과 상징성에 걸맞게 위상을 바로 세워야 한다”며 “국민 열 명 중 여덟 명이 찬성할 정도로 공감대도 넓다”고 강조했다.
이미지 확대

제77주년 제헌절 기념 국회 상징석 제막식 17일 국회 잔디광장에서 열린 제77주년 제헌절 기념 국회 상징석 제막식에서 우원식 국회의장 등 참석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2025.7.17
제77주년 제헌절 기념 국회 상징석 제막식
17일 국회 잔디광장에서 열린 제77주년 제헌절 기념 국회 상징석 제막식에서 우원식 국회의장 등 참석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2025.7.17
한편 우 의장은 제헌절 경축식에 앞서 국회 잔디광장에서 국회 상징석 제막식을 가졌다. 국회 상징석에는 ‘민주주의 최후의 보루 대한민국 국회’라는 문구를 새겨 넣었다. 우 의장은 “낮고 넓은 돌에 글귀를 새겼는데 국민 앞에 겸손한 국회, 낮은 자세와 넓은 포용을 실천하겠다는 국회의 각오로 해석해달라”고 말했다.
강윤혁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올 하반기 헌법 개정특위 구성”
“제헌절 공휴일 재지정도 제안”
이미지 확대
우원식 국회의장이 1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77주년 제헌절 경축식에서 경축사를 하고 있다. 2025.7.17 국회 사진기자단
우원식 국회의장이 1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77주년 제헌절 경축식에서 경축사를 하고 있다. 2025.7.17 국회 사진기자단
우원식 국회의장은 17일 제헌절 경축사에서 “전면적 개헌보다 단계적이고 연속적인 개헌으로 국회와 정부, 국민이 모두 흔쾌히 동의할 수 있는 최소 수준의 개헌으로 첫발을 떼는 것이 꼭 필요하다”고 밝혔다.
우 의장은 이날 국회 로텐더홀에서 열린 제77주년 제헌절 경축식에서 “더 늦기 전에 시작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우 의장은 “국회와 정부, 국민이 함께 만드는 헌법을 목표로 개헌 시기와 방식, 절차를 검토하겠다”며 “올 하반기에는 국회 헌법 개정특위를 구성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국민투표법 개정, 국민이 개헌 방향과 내용에 참여할 방안 마련, 헌법 개정안 성안, 세 가지가 필요하다”며 “개헌의 물꼬를 트는 것이 가장 중요한 만큼 헌법 개정안은 우선 합의할 수 있는 것까지만 담는다는 목표를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미지 확대

‘12·3 계엄 해제’ 상징석 글귀 읽는 우원식 의장 우원식 국회의장이 17일 국회 잔디마당에서 열린 제77주년 제헌절 기념 상징석 제막식에서 상징석 글귀를 읽고 있다. 2025.7.17 [국회 사진기자단]
‘12·3 계엄 해제’ 상징석 글귀 읽는 우원식 의장
우원식 국회의장이 17일 국회 잔디마당에서 열린 제77주년 제헌절 기념 상징석 제막식에서 상징석 글귀를 읽고 있다. 2025.7.17 [국회 사진기자단]
우 의장은 5·18 정신 헌법 전문 수록, 비상계엄 선포·해제 절차의 민주적 통제 장치, 국회 권한 강화 등을 예시로 들었다.
우 의장은 “단 한 가지를 개정하더라도 하지 않는 것보다는 훨씬 좋다”며 “개헌을 통해서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개혁과 민생의 제도적 기반을 만들어가자”고 촉구했다.
우 의장은 또 “제헌절을 공휴일로 재지정하는 일도 서두르자”고 제안했다. 우 의장은 “헌법의 중요성과 상징성에 걸맞게 위상을 바로 세워야 한다”며 “국민 열 명 중 여덟 명이 찬성할 정도로 공감대도 넓다”고 강조했다.
이미지 확대

제77주년 제헌절 기념 국회 상징석 제막식 17일 국회 잔디광장에서 열린 제77주년 제헌절 기념 국회 상징석 제막식에서 우원식 국회의장 등 참석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2025.7.17
제77주년 제헌절 기념 국회 상징석 제막식
17일 국회 잔디광장에서 열린 제77주년 제헌절 기념 국회 상징석 제막식에서 우원식 국회의장 등 참석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2025.7.17
한편 우 의장은 제헌절 경축식에 앞서 국회 잔디광장에서 국회 상징석 제막식을 가졌다. 국회 상징석에는 ‘민주주의 최후의 보루 대한민국 국회’라는 문구를 새겨 넣었다. 우 의장은 “낮고 넓은 돌에 글귀를 새겼는데 국민 앞에 겸손한 국회, 낮은 자세와 넓은 포용을 실천하겠다는 국회의 각오로 해석해달라”고 말했다.
강윤혁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올 하반기 헌법 개정특위 구성”
“제헌절 공휴일 재지정도 제안”
이미지 확대
우원식 국회의장이 1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77주년 제헌절 경축식에서 경축사를 하고 있다. 2025.7.17 국회 사진기자단
우원식 국회의장이 1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77주년 제헌절 경축식에서 경축사를 하고 있다. 2025.7.17 국회 사진기자단
우원식 국회의장은 17일 제헌절 경축사에서 “전면적 개헌보다 단계적이고 연속적인 개헌으로 국회와 정부, 국민이 모두 흔쾌히 동의할 수 있는 최소 수준의 개헌으로 첫발을 떼는 것이 꼭 필요하다”고 밝혔다.
우 의장은 이날 국회 로텐더홀에서 열린 제77주년 제헌절 경축식에서 “더 늦기 전에 시작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우 의장은 “국회와 정부, 국민이 함께 만드는 헌법을 목표로 개헌 시기와 방식, 절차를 검토하겠다”며 “올 하반기에는 국회 헌법 개정특위를 구성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국민투표법 개정, 국민이 개헌 방향과 내용에 참여할 방안 마련, 헌법 개정안 성안, 세 가지가 필요하다”며 “개헌의 물꼬를 트는 것이 가장 중요한 만큼 헌법 개정안은 우선 합의할 수 있는 것까지만 담는다는 목표를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미지 확대

‘12·3 계엄 해제’ 상징석 글귀 읽는 우원식 의장 우원식 국회의장이 17일 국회 잔디마당에서 열린 제77주년 제헌절 기념 상징석 제막식에서 상징석 글귀를 읽고 있다. 2025.7.17 [국회 사진기자단]
‘12·3 계엄 해제’ 상징석 글귀 읽는 우원식 의장
우원식 국회의장이 17일 국회 잔디마당에서 열린 제77주년 제헌절 기념 상징석 제막식에서 상징석 글귀를 읽고 있다. 2025.7.17 [국회 사진기자단]
우 의장은 5·18 정신 헌법 전문 수록, 비상계엄 선포·해제 절차의 민주적 통제 장치, 국회 권한 강화 등을 예시로 들었다.
우 의장은 “단 한 가지를 개정하더라도 하지 않는 것보다는 훨씬 좋다”며 “개헌을 통해서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개혁과 민생의 제도적 기반을 만들어가자”고 촉구했다.
우 의장은 또 “제헌절을 공휴일로 재지정하는 일도 서두르자”고 제안했다. 우 의장은 “헌법의 중요성과 상징성에 걸맞게 위상을 바로 세워야 한다”며 “국민 열 명 중 여덟 명이 찬성할 정도로 공감대도 넓다”고 강조했다.
이미지 확대

제77주년 제헌절 기념 국회 상징석 제막식 17일 국회 잔디광장에서 열린 제77주년 제헌절 기념 국회 상징석 제막식에서 우원식 국회의장 등 참석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2025.7.17
제77주년 제헌절 기념 국회 상징석 제막식
17일 국회 잔디광장에서 열린 제77주년 제헌절 기념 국회 상징석 제막식에서 우원식 국회의장 등 참석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2025.7.17
한편 우 의장은 제헌절 경축식에 앞서 국회 잔디광장에서 국회 상징석 제막식을 가졌다. 국회 상징석에는 ‘민주주의 최후의 보루 대한민국 국회’라는 문구를 새겨 넣었다. 우 의장은 “낮고 넓은 돌에 글귀를 새겼는데 국민 앞에 겸손한 국회, 낮은 자세와 넓은 포용을 실천하겠다는 국회의 각오로 해석해달라”고 말했다.
강윤혁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올 하반기 헌법 개정특위 구성”
“제헌절 공휴일 재지정도 제안”
이미지 확대
우원식 국회의장이 1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77주년 제헌절 경축식에서 경축사를 하고 있다. 2025.7.17 국회 사진기자단
우원식 국회의장이 1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77주년 제헌절 경축식에서 경축사를 하고 있다. 2025.7.17 국회 사진기자단
우원식 국회의장은 17일 제헌절 경축사에서 “전면적 개헌보다 단계적이고 연속적인 개헌으로 국회와 정부, 국민이 모두 흔쾌히 동의할 수 있는 최소 수준의 개헌으로 첫발을 떼는 것이 꼭 필요하다”고 밝혔다.
우 의장은 이날 국회 로텐더홀에서 열린 제77주년 제헌절 경축식에서 “더 늦기 전에 시작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우 의장은 “국회와 정부, 국민이 함께 만드는 헌법을 목표로 개헌 시기와 방식, 절차를 검토하겠다”며 “올 하반기에는 국회 헌법 개정특위를 구성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국민투표법 개정, 국민이 개헌 방향과 내용에 참여할 방안 마련, 헌법 개정안 성안, 세 가지가 필요하다”며 “개헌의 물꼬를 트는 것이 가장 중요한 만큼 헌법 개정안은 우선 합의할 수 있는 것까지만 담는다는 목표를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미지 확대

‘12·3 계엄 해제’ 상징석 글귀 읽는 우원식 의장 우원식 국회의장이 17일 국회 잔디마당에서 열린 제77주년 제헌절 기념 상징석 제막식에서 상징석 글귀를 읽고 있다. 2025.7.17 [국회 사진기자단]
‘12·3 계엄 해제’ 상징석 글귀 읽는 우원식 의장
우원식 국회의장이 17일 국회 잔디마당에서 열린 제77주년 제헌절 기념 상징석 제막식에서 상징석 글귀를 읽고 있다. 2025.7.17 [국회 사진기자단]
우 의장은 5·18 정신 헌법 전문 수록, 비상계엄 선포·해제 절차의 민주적 통제 장치, 국회 권한 강화 등을 예시로 들었다.
우 의장은 “단 한 가지를 개정하더라도 하지 않는 것보다는 훨씬 좋다”며 “개헌을 통해서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개혁과 민생의 제도적 기반을 만들어가자”고 촉구했다.
우 의장은 또 “제헌절을 공휴일로 재지정하는 일도 서두르자”고 제안했다. 우 의장은 “헌법의 중요성과 상징성에 걸맞게 위상을 바로 세워야 한다”며 “국민 열 명 중 여덟 명이 찬성할 정도로 공감대도 넓다”고 강조했다.
이미지 확대

제77주년 제헌절 기념 국회 상징석 제막식 17일 국회 잔디광장에서 열린 제77주년 제헌절 기념 국회 상징석 제막식에서 우원식 국회의장 등 참석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2025.7.17
제77주년 제헌절 기념 국회 상징석 제막식
17일 국회 잔디광장에서 열린 제77주년 제헌절 기념 국회 상징석 제막식에서 우원식 국회의장 등 참석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2025.7.17
한편 우 의장은 제헌절 경축식에 앞서 국회 잔디광장에서 국회 상징석 제막식을 가졌다. 국회 상징석에는 ‘민주주의 최후의 보루 대한민국 국회’라는 문구를 새겨 넣었다. 우 의장은 “낮고 넓은 돌에 글귀를 새겼는데 국민 앞에 겸손한 국회, 낮은 자세와 넓은 포용을 실천하겠다는 국회의 각오로 해석해달라”고 말했다.
강윤혁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