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힘 혁신위, 쇄신 대상 첫 지목
“언더73 버젓이 계파이익 추구”… ‘계파활동 금지’ 서약서 요구도
이미지 확대
윤희숙 국민의힘 혁신위원장.
연합뉴스
윤희숙 국민의힘 혁신위원장.
연합뉴스
윤희숙 국민의힘 혁신위원장이 16일 나경원·장동혁·윤상현 의원 및 송언석 원내대표 겸 비상대책위원장에게 “스스로 거취를 밝히라”고 요구했다. 앞서 대선 패배 등 8개 사건을 두고 관련자들의 자진 사과를 요구했으나 반응이 없자 직접 대상을 지목한 것이다. 하지만 당사자들이 반응하지 않으면서 당 쇄신을 둘러싼 진통은 계속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윤 위원장은 이날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인적 쇄신 1차분”이라며 이들을 지목했다. 윤 위원장이 취임한 이후 실명으로 쇄신 대상을 지목한 건 처음이다. 나·장 의원은 계엄과 탄핵 사태에 대한 사과에 공개 반대했고, 윤 의원은 국회에서 ‘윤어게인’ 토론회 등을 개최했다는 이유다. 송 원내대표는 윤 의원이 연 행사에 참석하며 이날 쇄신 대상으로 지목됐다.
앞서 장 의원은 혁신위의 1호 혁신안 발표 후 “언제까지 사과만 할 것인가”, 나 의원은 “탄핵 반대가 왜 잘못인가”라고 공개 반대한 바 있다.
이에 대해 윤 위원장은 실명을 꺼내진 않았으나 “사과해야 한다는 말도 비난하고 그럴 필요성 없다고 혁신을 깎아내리는 것이 혁신 0순위”라며 사실상 두 의원을 청산 대상으로 거론했다.
윤 의원과 송 원내대표는 지난 14일 부정선거를 주장하는 전한길 전 한국사 강사, ‘한남동 체포저지’를 주도했던 인물들이 참여한 ‘무엇을 할 것인가? 자유공화 리셋코리아를 위하여’ 창립준비 발대식과 토론회가 문제가 됐다. 윤 의원이 주최한 이 행사는 사실상 ‘윤어게인’ 정치 행사다. 송 원내대표와 김기현·조배숙·김민전 등 친윤(친윤석열)계 의원들이 참석했다.
이에 대해 윤 위원장은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와 제대로 단절하라는 당원들의 여망을 배신하고 오히려 더 가깝게 붙으려는 움직임”이라며 “광화문의 광장세력을 당 안방으로 끌어들인 것”이라고 비판했다. 특히 윤 위원장은 “극악한 해당 행위”라고 규정했다.
친한(친한동훈)계를 향한 강도 높은 청산 예고도 나왔다. 윤 위원장은 “3년 전에는 친윤계가 등장해 당 의사결정을 전횡하더니 소위 친한이라는 계파는 지금 언더73이라는 명찰을 달고 버젓이 계파이익을 추구하고 있다”며 “당이 망해가든 말든 계파만 챙기면 그만이라는 사익추구정치 때문에 당이 망할 것 같아 당헌에 계파금지 원칙을 박아 넣은 게 불과 두 달 전”이라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해 윤 위원장은 ‘국회의원 전원 계파활동 금지 서약서’ 제출을 요구했다. 윤 위원장은 오는 20일 ‘윤희숙 혁신안’을 논의하는 의원총회에서 서약서를 제출하라고 통보했다.
윤 위원장은 추가 인적 청산 대상 지목도 예고했다. 윤 위원장은 4인을 지목하면서 ‘1차 혁신분’이라고 했고, ‘쌍권(권영세·권성동)은 대상이 아니냐’는 질문에는 “2차, 3차가 계속 있다”며 “뒤따라올 쇄신안이 있을 것”이라고 예고했다.
다만 윤 위원장의 ‘거취 표명 요구’에 강제성이 없고, 1차 혁신안부터 원내외 구성원들의 추인을 받지 못해 별다른 효과를 거두지 못할 것이란 우려도 커지고 있다. 국민의힘 지도부는 윤 위원장이 내놓은 혁신안을 논의조차 하지 않고 있다.
송 원내대표는 윤 위원장의 요구에 대해 “혁신위의 충정이라고 생각한다”면서도 “다만 절차적으로 볼 때 혁신위 의결, 이후 비대위에서 최종적으로 확정해야 하는 것”이라고 원론적 반응을 내놨다. 사실상 ‘무시전략’으로도 해석된다. 다만 ‘윤어게인’ 토론회 참석이 해당 행위라는 윤 위원장의 지적에는 “전혀 공감이 안 된다”고 했다.
앞서 8개 사건에 연루된 국민의힘 의원 60여명도 ‘무반응’으로 일관하고 있다. 8월 전당대회까지 사실상 ‘뭉개기’를 이어 간다는 게 지배적 기류다. 반면 윤 위원장은 물러서지 않고 쇄신 요구 수위를 최대치로 높여 갈 예정이다.
손지은·곽진웅 기자
2025-07-17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