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소비자 보호 최우선 과제” 공언
금고 비유하며 내부통제 강화 주문
AI 투자 등 생산적 금융 전환 강조
이미지 확대
28일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열린 ‘금융감독원장-은행장 간담회’에서 이찬진 금감원장과 조용병 은행연합회장, 그리고 각 은행장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앞줄 왼쪽부터 신학기 Sh수협은행장, 이환주 KB국민은행장, 이 금감원장, 조 은행연합회장, 정상혁 신한은행장. 뒷줄 왼쪽부터 황병우 iM뱅크 은행장, 정진완 우리은행장, 이호성 하나은행장, 강태영 농협은행장, 최우형 케이뱅크 은행장.
이지훈 기자
28일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열린 ‘금융감독원장-은행장 간담회’에서 이찬진 금감원장과 조용병 은행연합회장, 그리고 각 은행장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앞줄 왼쪽부터 신학기 Sh수협은행장, 이환주 KB국민은행장, 이 금감원장, 조 은행연합회장, 정상혁 신한은행장. 뒷줄 왼쪽부터 황병우 iM뱅크 은행장, 정진완 우리은행장, 이호성 하나은행장, 강태영 농협은행장, 최우형 케이뱅크 은행장.
이지훈 기자
이찬진 신임 금융감독원장이 금융권과의 첫 상견례에서 은행들의 ‘손쉬운 이자장사’ 행태를 꼬집으며 소비자 보호와 내부통제 강화, 그리고 생산적 금융으로의 전환을 강조했다.
이 원장은 28일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20개 국내은행 은행장 및 조용병 은행연합회장을 만나 “향후 모든 금융감독·검사 업무에서 금융소비자 보호를 최우선 과제로 삼겠다”고 공언했다.
이 원장은 “은행이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것은 금융소비자라는 동반자가 있어 가능한 것”이라며 “주가연계증권(ELS) 사태와 같은 대규모 소비자 권익침해 사례가 없도록 ‘사전예방적 소비자 보호체계’를 확립해야 한다”고 했다. 금감원은 은행의 소비자 보호 체계 확립을 돕는 태스크포스(TF)를 설치할 계획이다.
은행을 ‘금고’에 비유하며 내부통제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이 원장은 “금고의 자물쇠가 깨지면 국민은 해당 금고에 돈을 맡기지 않을 것”이라며 “개인정보 유출, 직원의 횡령 등 금융사고가 발생한다는 것은 자물쇠가 깨진 금고와 다를 바 없다. 비용 절감을 위해 허술한 자물쇠가 달린 금고를 사용하면 국민의 믿음을 저버리는 결과가 초래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재명 정부의 기조에 맞춰 생산적 금융 확대도 주문했다. 이 원장은 “은행은 리스크가 가장 낮은 (부동산) 담보와 보증상품 위주로 소위 ‘손쉬운 이자장사’에 치중하고 있다는 비판이 있다”면서 “은행이 지금이라도 인공지능(AI) 등 미래 산업의 성장 토대가 되는 생산적 부문으로 자금을 흘려보낼 수 있느냐가 곧 미래의 방향을 결정짓는 시금석이 되는만큼 여유 자본이 생산적 금융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각별히 신경 써달라”고 주문했다.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에 대한 금융 지원도 활성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회의 후 이 원장이 당부한 내용의 강도가 높다는 데 놀랐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한 은행권 관계자는 “금융소비자 보호, 가계부채 리스크 관리 부문은 당연히 은행들이 신경써야 하는 부분이다”면서도 “다만 생산적 금융으로의 전환, 중소기업·소상공인 지원 강화를 금감원장이 강조한 것은 의외다”라고 했다.
다음달 이 원장과의 간담회가 예정된 보험(1일), 저축은행(4일), 증권(8일), 카드(16일) 등 비은행 금융권과 네이버·카카오·쿠팡·토스 등 빅테크(11일)들도 긴장하는 분위기다. 사회공헌 및 모험자본 확대, 보험료 부담 완화, 소상공인 지원 등 강도 높은 업권 맞춤형 주문이 이어질 전망이다.
최재성 기자
2025-08-29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금융소비자 보호 최우선 과제” 공언
금고 비유하며 내부통제 강화 주문
AI 투자 등 생산적 금융 전환 강조
이미지 확대
28일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열린 ‘금융감독원장-은행장 간담회’에서 이찬진 금감원장과 조용병 은행연합회장, 그리고 각 은행장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앞줄 왼쪽부터 신학기 Sh수협은행장, 이환주 KB국민은행장, 이 금감원장, 조 은행연합회장, 정상혁 신한은행장. 뒷줄 왼쪽부터 황병우 iM뱅크 은행장, 정진완 우리은행장, 이호성 하나은행장, 강태영 농협은행장, 최우형 케이뱅크 은행장.
이지훈 기자
28일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열린 ‘금융감독원장-은행장 간담회’에서 이찬진 금감원장과 조용병 은행연합회장, 그리고 각 은행장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앞줄 왼쪽부터 신학기 Sh수협은행장, 이환주 KB국민은행장, 이 금감원장, 조 은행연합회장, 정상혁 신한은행장. 뒷줄 왼쪽부터 황병우 iM뱅크 은행장, 정진완 우리은행장, 이호성 하나은행장, 강태영 농협은행장, 최우형 케이뱅크 은행장.
이지훈 기자
이찬진 신임 금융감독원장이 금융권과의 첫 상견례에서 은행들의 ‘손쉬운 이자장사’ 행태를 꼬집으며 소비자 보호와 내부통제 강화, 그리고 생산적 금융으로의 전환을 강조했다.
이 원장은 28일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20개 국내은행 은행장 및 조용병 은행연합회장을 만나 “향후 모든 금융감독·검사 업무에서 금융소비자 보호를 최우선 과제로 삼겠다”고 공언했다.
이 원장은 “은행이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것은 금융소비자라는 동반자가 있어 가능한 것”이라며 “주가연계증권(ELS) 사태와 같은 대규모 소비자 권익침해 사례가 없도록 ‘사전예방적 소비자 보호체계’를 확립해야 한다”고 했다. 금감원은 은행의 소비자 보호 체계 확립을 돕는 태스크포스(TF)를 설치할 계획이다.
은행을 ‘금고’에 비유하며 내부통제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이 원장은 “금고의 자물쇠가 깨지면 국민은 해당 금고에 돈을 맡기지 않을 것”이라며 “개인정보 유출, 직원의 횡령 등 금융사고가 발생한다는 것은 자물쇠가 깨진 금고와 다를 바 없다. 비용 절감을 위해 허술한 자물쇠가 달린 금고를 사용하면 국민의 믿음을 저버리는 결과가 초래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재명 정부의 기조에 맞춰 생산적 금융 확대도 주문했다. 이 원장은 “은행은 리스크가 가장 낮은 (부동산) 담보와 보증상품 위주로 소위 ‘손쉬운 이자장사’에 치중하고 있다는 비판이 있다”면서 “은행이 지금이라도 인공지능(AI) 등 미래 산업의 성장 토대가 되는 생산적 부문으로 자금을 흘려보낼 수 있느냐가 곧 미래의 방향을 결정짓는 시금석이 되는만큼 여유 자본이 생산적 금융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각별히 신경 써달라”고 주문했다.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에 대한 금융 지원도 활성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회의 후 이 원장이 당부한 내용의 강도가 높다는 데 놀랐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한 은행권 관계자는 “금융소비자 보호, 가계부채 리스크 관리 부문은 당연히 은행들이 신경써야 하는 부분이다”면서도 “다만 생산적 금융으로의 전환, 중소기업·소상공인 지원 강화를 금감원장이 강조한 것은 의외다”라고 했다.
다음달 이 원장과의 간담회가 예정된 보험(1일), 저축은행(4일), 증권(8일), 카드(16일) 등 비은행 금융권과 네이버·카카오·쿠팡·토스 등 빅테크(11일)들도 긴장하는 분위기다. 사회공헌 및 모험자본 확대, 보험료 부담 완화, 소상공인 지원 등 강도 높은 업권 맞춤형 주문이 이어질 전망이다.
최재성 기자
2025-08-29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