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미국 뉴욕 맨해튼의 카네기 하우스 전경. 미국 부동산 검색 사이트 질로우닷컴 캡처
미국 뉴욕 맨해튼의 카네기 하우스 전경. 미국 부동산 검색 사이트 질로우닷컴 캡처
미국 뉴욕 맨해튼의 부자들이 사는 ‘억만장자 거리’에서 유일하게 일반인이 살 수 있던 아파트 주민들이 갑작스런 임대료 대폭 인상에 맞서 시위를 벌였다. 이들은 땅 임대료가 450% 폭등해 삶의 터전을 잃을 위기에 처했다고 호소했다.
20일(현지시간) 뉴욕포스트 보도에 따르면, 이날 오전 맨해튼 미드타운의 건물 앞에서 카네기 하우스 협동조합 소속 주민 25명 정도가 모여 시위를 벌였다. 이들이 시위한 곳은 IT(정보기술) 억만장자 마이클 델이 1억 달러짜리 펜트하우스를 소유한 건물 바로 앞이었다.
주민들은 “우리 집을 지켜달라!”고 적힌 팻말을 들고 구호를 외쳤다. 이들이 사는 곳은 바로 근처에 있는 ‘카네기 하우스’라는 아파트로, 억만장자 거리에서 유일하게 일반인들이 살 수 있는 저렴한 주택이다.
문제의 핵심은 ‘토지 임대’ 방식에 있다. 주민들은 아파트는 소유하고 있지만, 건물 땅의 주인은 따로 있다. 이들이 땅 임대료를 내야 하는 구조다.
아파트를 살 때 땅 임대료가 오를 것은 예상했지만, 이렇게 급격하게 치솟을 줄은 몰랐다고 주민들은 입을 모았다.
최근 아파트 주민들과 땅 소유주 사이의 협상이 결렬되자 중재위원회는 지난 7월 땅 주인들이 임대료를 연 436만 달러(약 61억원)에서 약 2400만 달러(약 336억원)로 올릴 수 있다고 판정했다. 무려 450%나 오른 것이다.
이에 따라 카네기 하우스 주민들의 월 관리비도 급격히 오를 예정이다. 주민들이 늘어난 관리비를 감당하지 못해 협동조합이 파산하면, 이 건물은 임대료 안정화 아파트로 바뀔 수 있다. 그렇게 되면 주민들은 아파트에 대한 지분을 모두 잃게 된다.
카네기 하우스 협동조합 이사회 회장인 리처드 허시는 “사람들의 은퇴 자금, 평생 모은 돈이 한순간에 모두 사라지는 일”이라고 말했다.
협동조합의 토지 임대 시스템은 1950년대 부유하지 않은 뉴요커들도 집을 살 수 있도록 생긴 제도였다. 그로부터 수십 년이 지나면서 뉴욕의 땅값이 급등했고, 당시 맺은 임대 계약들이 만료 시점을 맞고 있다.
시민단체인 ‘토지임대 협동조합 연합’은 뉴욕에서 2만 5000명 이상이 비슷한 상황에서 향후 땅값 기반의 임대료 인상을 겪을 수 있다고 추산한다고 밝혔다.
김성은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미지 확대
미국 뉴욕 맨해튼의 카네기 하우스 전경. 미국 부동산 검색 사이트 질로우닷컴 캡처
미국 뉴욕 맨해튼의 카네기 하우스 전경. 미국 부동산 검색 사이트 질로우닷컴 캡처
미국 뉴욕 맨해튼의 부자들이 사는 ‘억만장자 거리’에서 유일하게 일반인이 살 수 있던 아파트 주민들이 갑작스런 임대료 대폭 인상에 맞서 시위를 벌였다. 이들은 땅 임대료가 450% 폭등해 삶의 터전을 잃을 위기에 처했다고 호소했다.
20일(현지시간) 뉴욕포스트 보도에 따르면, 이날 오전 맨해튼 미드타운의 건물 앞에서 카네기 하우스 협동조합 소속 주민 25명 정도가 모여 시위를 벌였다. 이들이 시위한 곳은 IT(정보기술) 억만장자 마이클 델이 1억 달러짜리 펜트하우스를 소유한 건물 바로 앞이었다.
주민들은 “우리 집을 지켜달라!”고 적힌 팻말을 들고 구호를 외쳤다. 이들이 사는 곳은 바로 근처에 있는 ‘카네기 하우스’라는 아파트로, 억만장자 거리에서 유일하게 일반인들이 살 수 있는 저렴한 주택이다.
문제의 핵심은 ‘토지 임대’ 방식에 있다. 주민들은 아파트는 소유하고 있지만, 건물 땅의 주인은 따로 있다. 이들이 땅 임대료를 내야 하는 구조다.
아파트를 살 때 땅 임대료가 오를 것은 예상했지만, 이렇게 급격하게 치솟을 줄은 몰랐다고 주민들은 입을 모았다.
최근 아파트 주민들과 땅 소유주 사이의 협상이 결렬되자 중재위원회는 지난 7월 땅 주인들이 임대료를 연 436만 달러(약 61억원)에서 약 2400만 달러(약 336억원)로 올릴 수 있다고 판정했다. 무려 450%나 오른 것이다.
이에 따라 카네기 하우스 주민들의 월 관리비도 급격히 오를 예정이다. 주민들이 늘어난 관리비를 감당하지 못해 협동조합이 파산하면, 이 건물은 임대료 안정화 아파트로 바뀔 수 있다. 그렇게 되면 주민들은 아파트에 대한 지분을 모두 잃게 된다.
카네기 하우스 협동조합 이사회 회장인 리처드 허시는 “사람들의 은퇴 자금, 평생 모은 돈이 한순간에 모두 사라지는 일”이라고 말했다.
협동조합의 토지 임대 시스템은 1950년대 부유하지 않은 뉴요커들도 집을 살 수 있도록 생긴 제도였다. 그로부터 수십 년이 지나면서 뉴욕의 땅값이 급등했고, 당시 맺은 임대 계약들이 만료 시점을 맞고 있다.
시민단체인 ‘토지임대 협동조합 연합’은 뉴욕에서 2만 5000명 이상이 비슷한 상황에서 향후 땅값 기반의 임대료 인상을 겪을 수 있다고 추산한다고 밝혔다.
김성은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미지 확대
미국 뉴욕 맨해튼의 카네기 하우스 전경. 미국 부동산 검색 사이트 질로우닷컴 캡처
미국 뉴욕 맨해튼의 카네기 하우스 전경. 미국 부동산 검색 사이트 질로우닷컴 캡처
미국 뉴욕 맨해튼의 부자들이 사는 ‘억만장자 거리’에서 유일하게 일반인이 살 수 있던 아파트 주민들이 갑작스런 임대료 대폭 인상에 맞서 시위를 벌였다. 이들은 땅 임대료가 450% 폭등해 삶의 터전을 잃을 위기에 처했다고 호소했다.
20일(현지시간) 뉴욕포스트 보도에 따르면, 이날 오전 맨해튼 미드타운의 건물 앞에서 카네기 하우스 협동조합 소속 주민 25명 정도가 모여 시위를 벌였다. 이들이 시위한 곳은 IT(정보기술) 억만장자 마이클 델이 1억 달러짜리 펜트하우스를 소유한 건물 바로 앞이었다.
주민들은 “우리 집을 지켜달라!”고 적힌 팻말을 들고 구호를 외쳤다. 이들이 사는 곳은 바로 근처에 있는 ‘카네기 하우스’라는 아파트로, 억만장자 거리에서 유일하게 일반인들이 살 수 있는 저렴한 주택이다.
문제의 핵심은 ‘토지 임대’ 방식에 있다. 주민들은 아파트는 소유하고 있지만, 건물 땅의 주인은 따로 있다. 이들이 땅 임대료를 내야 하는 구조다.
아파트를 살 때 땅 임대료가 오를 것은 예상했지만, 이렇게 급격하게 치솟을 줄은 몰랐다고 주민들은 입을 모았다.
최근 아파트 주민들과 땅 소유주 사이의 협상이 결렬되자 중재위원회는 지난 7월 땅 주인들이 임대료를 연 436만 달러(약 61억원)에서 약 2400만 달러(약 336억원)로 올릴 수 있다고 판정했다. 무려 450%나 오른 것이다.
이에 따라 카네기 하우스 주민들의 월 관리비도 급격히 오를 예정이다. 주민들이 늘어난 관리비를 감당하지 못해 협동조합이 파산하면, 이 건물은 임대료 안정화 아파트로 바뀔 수 있다. 그렇게 되면 주민들은 아파트에 대한 지분을 모두 잃게 된다.
카네기 하우스 협동조합 이사회 회장인 리처드 허시는 “사람들의 은퇴 자금, 평생 모은 돈이 한순간에 모두 사라지는 일”이라고 말했다.
협동조합의 토지 임대 시스템은 1950년대 부유하지 않은 뉴요커들도 집을 살 수 있도록 생긴 제도였다. 그로부터 수십 년이 지나면서 뉴욕의 땅값이 급등했고, 당시 맺은 임대 계약들이 만료 시점을 맞고 있다.
시민단체인 ‘토지임대 협동조합 연합’은 뉴욕에서 2만 5000명 이상이 비슷한 상황에서 향후 땅값 기반의 임대료 인상을 겪을 수 있다고 추산한다고 밝혔다.
김성은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미지 확대
미국 뉴욕 맨해튼의 카네기 하우스 전경. 미국 부동산 검색 사이트 질로우닷컴 캡처
미국 뉴욕 맨해튼의 카네기 하우스 전경. 미국 부동산 검색 사이트 질로우닷컴 캡처
미국 뉴욕 맨해튼의 부자들이 사는 ‘억만장자 거리’에서 유일하게 일반인이 살 수 있던 아파트 주민들이 갑작스런 임대료 대폭 인상에 맞서 시위를 벌였다. 이들은 땅 임대료가 450% 폭등해 삶의 터전을 잃을 위기에 처했다고 호소했다.
20일(현지시간) 뉴욕포스트 보도에 따르면, 이날 오전 맨해튼 미드타운의 건물 앞에서 카네기 하우스 협동조합 소속 주민 25명 정도가 모여 시위를 벌였다. 이들이 시위한 곳은 IT(정보기술) 억만장자 마이클 델이 1억 달러짜리 펜트하우스를 소유한 건물 바로 앞이었다.
주민들은 “우리 집을 지켜달라!”고 적힌 팻말을 들고 구호를 외쳤다. 이들이 사는 곳은 바로 근처에 있는 ‘카네기 하우스’라는 아파트로, 억만장자 거리에서 유일하게 일반인들이 살 수 있는 저렴한 주택이다.
문제의 핵심은 ‘토지 임대’ 방식에 있다. 주민들은 아파트는 소유하고 있지만, 건물 땅의 주인은 따로 있다. 이들이 땅 임대료를 내야 하는 구조다.
아파트를 살 때 땅 임대료가 오를 것은 예상했지만, 이렇게 급격하게 치솟을 줄은 몰랐다고 주민들은 입을 모았다.
최근 아파트 주민들과 땅 소유주 사이의 협상이 결렬되자 중재위원회는 지난 7월 땅 주인들이 임대료를 연 436만 달러(약 61억원)에서 약 2400만 달러(약 336억원)로 올릴 수 있다고 판정했다. 무려 450%나 오른 것이다.
이에 따라 카네기 하우스 주민들의 월 관리비도 급격히 오를 예정이다. 주민들이 늘어난 관리비를 감당하지 못해 협동조합이 파산하면, 이 건물은 임대료 안정화 아파트로 바뀔 수 있다. 그렇게 되면 주민들은 아파트에 대한 지분을 모두 잃게 된다.
카네기 하우스 협동조합 이사회 회장인 리처드 허시는 “사람들의 은퇴 자금, 평생 모은 돈이 한순간에 모두 사라지는 일”이라고 말했다.
협동조합의 토지 임대 시스템은 1950년대 부유하지 않은 뉴요커들도 집을 살 수 있도록 생긴 제도였다. 그로부터 수십 년이 지나면서 뉴욕의 땅값이 급등했고, 당시 맺은 임대 계약들이 만료 시점을 맞고 있다.
시민단체인 ‘토지임대 협동조합 연합’은 뉴욕에서 2만 5000명 이상이 비슷한 상황에서 향후 땅값 기반의 임대료 인상을 겪을 수 있다고 추산한다고 밝혔다.
김성은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