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초 예정보다 47분이나 늦춰져
1시간~1시간 30분 간격 14회 운항
요금 3000원… 기후카드는 무제한
출퇴근 시간 15분 간격 급행도 운영
|
15일 서울 강서구 마곡선착장에 한강버스가 정박해 있다. 한강버스는 오는 18일 오전 11시 정식 운항을 시작한다. 뉴시스 |
|
서울시 ‘한강버스’가 오는 18일 오전 11시부터 정식 운항을 시작한다. 다만 운항 초기에는 출근 시간 이후인 오전 11시부터 이용이 가능한데다 마곡에서 잠실까지 당초 예상보다 47분 늦춰진 127분이 소요될 전망이다. 한강버스가 선박 공정 지연 등으로 운항 일정이 미뤄진 데 이어 시작 전부터 삐걱거리는 모습이다.
15일 서울시에 따르면 한강버스는 총 8척의 선박이 마곡-망원-여의도-옥수-압구정-뚝섬-잠실 7개 선착장, 28.9㎞를 오간다.
한강버스 정식 운항 초기(18일∼10월 9일)에는 오전 11시부터 오후 9시 37분(도착지 기준)까지, 주중·주말 모두 1시간∼1시간 30분 간격으로 하루 14회 운항한다. 시민들이 한강버스를 타며 석양을 즐길 수 있도록 퇴근 시간대에는 간격을 1시간으로 좁혔다.
소요 시간은 마곡에서 잠실까지 127분이다. 여의도에서 잠실까지 80분이다. 당초 모든 선착장을 지나치는 일반 노선의 경우 마곡에서 잠실까지 75분이 소요될 것으로 봤으나 예상 시간이 길어졌다. 다음달 10일 도입되는 급행도 82분이 소요된다.
박진영 시 미래한강본부장은 “안정성 등을 고려해 운항시간을 127분으로 늘렸다. 한강 이용객이 더 몰리는 저녁을 중심으로 초기 운항 시간을 정했다”고 설명했다.
추석 연휴 이후인 다음달 10일부터는 출·퇴근 시간엔 15분 간격으로 급행 노선을 운영하고, 평일 기준 왕복 30회 운항하는 등 확대 운영할 예정이다. 평일 운항 시간은 오전 7시~오후 10시 30분, 주말은 오전 9시 30분~오후 10시 30분이다. 선박 4척을 추가로 인도하는 10월 말 이후에는 12척의 배를 투입해 총 48회를 운항한다.
박 본부장은 “신중하게 시작하고자 간격과 투입 개수를 조정을 했다“며 ”연말까지는 완성도 있는 모습으로 출퇴근에도 충분한 선택지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한강버스 모든 선박은 친환경 선박(하이브리드 8척·전기 4척)이다. 이용요금은 1회 3000원이다. 기후동행카드를 사용하면 횟수 제한 없이 탑승할 수 있고, 대중교통 환승할인도 받을 수 있다.
유규상 기자
2025-09-16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당초 예정보다 47분이나 늦춰져
1시간~1시간 30분 간격 14회 운항
요금 3000원… 기후카드는 무제한
출퇴근 시간 15분 간격 급행도 운영
|
15일 서울 강서구 마곡선착장에 한강버스가 정박해 있다. 한강버스는 오는 18일 오전 11시 정식 운항을 시작한다. 뉴시스 |
|
서울시 ‘한강버스’가 오는 18일 오전 11시부터 정식 운항을 시작한다. 다만 운항 초기에는 출근 시간 이후인 오전 11시부터 이용이 가능한데다 마곡에서 잠실까지 당초 예상보다 47분 늦춰진 127분이 소요될 전망이다. 한강버스가 선박 공정 지연 등으로 운항 일정이 미뤄진 데 이어 시작 전부터 삐걱거리는 모습이다.
15일 서울시에 따르면 한강버스는 총 8척의 선박이 마곡-망원-여의도-옥수-압구정-뚝섬-잠실 7개 선착장, 28.9㎞를 오간다.
한강버스 정식 운항 초기(18일∼10월 9일)에는 오전 11시부터 오후 9시 37분(도착지 기준)까지, 주중·주말 모두 1시간∼1시간 30분 간격으로 하루 14회 운항한다. 시민들이 한강버스를 타며 석양을 즐길 수 있도록 퇴근 시간대에는 간격을 1시간으로 좁혔다.
소요 시간은 마곡에서 잠실까지 127분이다. 여의도에서 잠실까지 80분이다. 당초 모든 선착장을 지나치는 일반 노선의 경우 마곡에서 잠실까지 75분이 소요될 것으로 봤으나 예상 시간이 길어졌다. 다음달 10일 도입되는 급행도 82분이 소요된다.
박진영 시 미래한강본부장은 “안정성 등을 고려해 운항시간을 127분으로 늘렸다. 한강 이용객이 더 몰리는 저녁을 중심으로 초기 운항 시간을 정했다”고 설명했다.
추석 연휴 이후인 다음달 10일부터는 출·퇴근 시간엔 15분 간격으로 급행 노선을 운영하고, 평일 기준 왕복 30회 운항하는 등 확대 운영할 예정이다. 평일 운항 시간은 오전 7시~오후 10시 30분, 주말은 오전 9시 30분~오후 10시 30분이다. 선박 4척을 추가로 인도하는 10월 말 이후에는 12척의 배를 투입해 총 48회를 운항한다.
박 본부장은 “신중하게 시작하고자 간격과 투입 개수를 조정을 했다“며 ”연말까지는 완성도 있는 모습으로 출퇴근에도 충분한 선택지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한강버스 모든 선박은 친환경 선박(하이브리드 8척·전기 4척)이다. 이용요금은 1회 3000원이다. 기후동행카드를 사용하면 횟수 제한 없이 탑승할 수 있고, 대중교통 환승할인도 받을 수 있다.
유규상 기자
2025-09-16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당초 예정보다 47분이나 늦춰져
1시간~1시간 30분 간격 14회 운항
요금 3000원… 기후카드는 무제한
출퇴근 시간 15분 간격 급행도 운영
|
15일 서울 강서구 마곡선착장에 한강버스가 정박해 있다. 한강버스는 오는 18일 오전 11시 정식 운항을 시작한다. 뉴시스 |
|
서울시 ‘한강버스’가 오는 18일 오전 11시부터 정식 운항을 시작한다. 다만 운항 초기에는 출근 시간 이후인 오전 11시부터 이용이 가능한데다 마곡에서 잠실까지 당초 예상보다 47분 늦춰진 127분이 소요될 전망이다. 한강버스가 선박 공정 지연 등으로 운항 일정이 미뤄진 데 이어 시작 전부터 삐걱거리는 모습이다.
15일 서울시에 따르면 한강버스는 총 8척의 선박이 마곡-망원-여의도-옥수-압구정-뚝섬-잠실 7개 선착장, 28.9㎞를 오간다.
한강버스 정식 운항 초기(18일∼10월 9일)에는 오전 11시부터 오후 9시 37분(도착지 기준)까지, 주중·주말 모두 1시간∼1시간 30분 간격으로 하루 14회 운항한다. 시민들이 한강버스를 타며 석양을 즐길 수 있도록 퇴근 시간대에는 간격을 1시간으로 좁혔다.
소요 시간은 마곡에서 잠실까지 127분이다. 여의도에서 잠실까지 80분이다. 당초 모든 선착장을 지나치는 일반 노선의 경우 마곡에서 잠실까지 75분이 소요될 것으로 봤으나 예상 시간이 길어졌다. 다음달 10일 도입되는 급행도 82분이 소요된다.
박진영 시 미래한강본부장은 “안정성 등을 고려해 운항시간을 127분으로 늘렸다. 한강 이용객이 더 몰리는 저녁을 중심으로 초기 운항 시간을 정했다”고 설명했다.
추석 연휴 이후인 다음달 10일부터는 출·퇴근 시간엔 15분 간격으로 급행 노선을 운영하고, 평일 기준 왕복 30회 운항하는 등 확대 운영할 예정이다. 평일 운항 시간은 오전 7시~오후 10시 30분, 주말은 오전 9시 30분~오후 10시 30분이다. 선박 4척을 추가로 인도하는 10월 말 이후에는 12척의 배를 투입해 총 48회를 운항한다.
박 본부장은 “신중하게 시작하고자 간격과 투입 개수를 조정을 했다“며 ”연말까지는 완성도 있는 모습으로 출퇴근에도 충분한 선택지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한강버스 모든 선박은 친환경 선박(하이브리드 8척·전기 4척)이다. 이용요금은 1회 3000원이다. 기후동행카드를 사용하면 횟수 제한 없이 탑승할 수 있고, 대중교통 환승할인도 받을 수 있다.
유규상 기자
2025-09-16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당초 예정보다 47분이나 늦춰져
1시간~1시간 30분 간격 14회 운항
요금 3000원… 기후카드는 무제한
출퇴근 시간 15분 간격 급행도 운영
|
15일 서울 강서구 마곡선착장에 한강버스가 정박해 있다. 한강버스는 오는 18일 오전 11시 정식 운항을 시작한다. 뉴시스 |
|
서울시 ‘한강버스’가 오는 18일 오전 11시부터 정식 운항을 시작한다. 다만 운항 초기에는 출근 시간 이후인 오전 11시부터 이용이 가능한데다 마곡에서 잠실까지 당초 예상보다 47분 늦춰진 127분이 소요될 전망이다. 한강버스가 선박 공정 지연 등으로 운항 일정이 미뤄진 데 이어 시작 전부터 삐걱거리는 모습이다.
15일 서울시에 따르면 한강버스는 총 8척의 선박이 마곡-망원-여의도-옥수-압구정-뚝섬-잠실 7개 선착장, 28.9㎞를 오간다.
한강버스 정식 운항 초기(18일∼10월 9일)에는 오전 11시부터 오후 9시 37분(도착지 기준)까지, 주중·주말 모두 1시간∼1시간 30분 간격으로 하루 14회 운항한다. 시민들이 한강버스를 타며 석양을 즐길 수 있도록 퇴근 시간대에는 간격을 1시간으로 좁혔다.
소요 시간은 마곡에서 잠실까지 127분이다. 여의도에서 잠실까지 80분이다. 당초 모든 선착장을 지나치는 일반 노선의 경우 마곡에서 잠실까지 75분이 소요될 것으로 봤으나 예상 시간이 길어졌다. 다음달 10일 도입되는 급행도 82분이 소요된다.
박진영 시 미래한강본부장은 “안정성 등을 고려해 운항시간을 127분으로 늘렸다. 한강 이용객이 더 몰리는 저녁을 중심으로 초기 운항 시간을 정했다”고 설명했다.
추석 연휴 이후인 다음달 10일부터는 출·퇴근 시간엔 15분 간격으로 급행 노선을 운영하고, 평일 기준 왕복 30회 운항하는 등 확대 운영할 예정이다. 평일 운항 시간은 오전 7시~오후 10시 30분, 주말은 오전 9시 30분~오후 10시 30분이다. 선박 4척을 추가로 인도하는 10월 말 이후에는 12척의 배를 투입해 총 48회를 운항한다.
박 본부장은 “신중하게 시작하고자 간격과 투입 개수를 조정을 했다“며 ”연말까지는 완성도 있는 모습으로 출퇴근에도 충분한 선택지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한강버스 모든 선박은 친환경 선박(하이브리드 8척·전기 4척)이다. 이용요금은 1회 3000원이다. 기후동행카드를 사용하면 횟수 제한 없이 탑승할 수 있고, 대중교통 환승할인도 받을 수 있다.
유규상 기자
2025-09-16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