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다음달 31일부터 이틀간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참석을 위한 물밑 준비를 하고 있다고 CNN이 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참석 여부가 불확실한 상황에서 미국은 일단 북미 정상회담보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미중 회담 성사에 더 주력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CNN은 이날 트럼프 행정부 관계자 3명을 인용해 “APEC 기간 시 주석과의 양자 회담 개최에 진지한 논의가 있었지만, 아직 구체적인 계획은 없다”며 이같이 전했다. 다자외교 무대인 이번 정상회의는 트럼프 대통령이 2기 취임 후 처음으로 시 주석과 대면할 중요한 기회로 여겨진다. 앞서 시 주석은 지난달 통화에서 트럼프 대통령 부부에게 방중을 제안했고, 트럼프 대통령도 이에 화답한 바 있다.
미중 정상회담이 성사되면 트럼프 2기 들어 양 정상 간 첫 대면이다. 2023년 11월 조 바이든 대통령과 시 주석이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APEC 정상회의 계기로 만난 이후 약 2년 만이다. 미국의 일방적인 상호관세 부과로 악화된 양국 관계 복원, 미중 양국의 공급망·핵심 자원 ‘디리스킹’(탈위험)에 이어 북한 비핵화 등까지 폭넓게 논의될 가능성이 있다.
CNN은 트럼프 대통령의 방한이 시 주석, 김 위원장과의 관계가 미묘한 시기에 추진되고 있다고 짚었다. 지난주 시 주석은 김 위원장,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대대적인 ‘중국 전승절 80주년’ 열병식에서 ‘반미·반서방 연대’로 손잡은 북중러 정상의 밀착을 대내외에 과시했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트루스소셜을 통해 불쾌감을 표시하기도 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APEC 정상회의 참석을 계기로 대미 투자 확대에도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사우디아라비아, 카타르, 아랍에미리트(UAE) 등 해외 순방 때도 대미 투자에 초점을 맞췄다. 관세와 안보, 원자력협정 개정 등 한미 현안에 대한 후속 논의가 이뤄질지도 주목된다.
백악관 관계자는 “논의 중인 한국 방문의 초점은 투자 유치 확대를 포함한 경제 협력”이라며 “무역과 안보, 민간 원자력 협력에 관한 논의도 포함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 정부는 지난달 한미정상회담 이후 ‘사용후 핵연료 재처리 역량 확보를 위해 한미원자력협정 개정을 추진하고 있다’고도 공개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