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에 군사비 수십억달러…관세와 별도로 다룰 것”
트럼프 “시진핑과 통화”…中과 관세 직접 협상 시사
이미지 확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AP 뉴시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AP 뉴시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 등 동맹을 방어하는 데 드는 비용을 관세 협상과는 별도 현안으로 다룰 방침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25일(현지시간) 공개된 미 시사주간지 타임과의 인터뷰에서 현재 진행 중인 관세 협상에 대해 “난 가까운 미래의 특정 시점에 국가별로 공정한 가격의 관세를 정할 것”이라며 국가별 관세를 정할 때 “통계와 다른 모든 것”을 고려하겠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부가가치세, 대미 관세 등을 고려 요인으로 언급하며 “우리가 그들의 군대를 위해 돈을 내느냐. 예를 들어 우리는 한국이 있지 않으냐. 우리는 군대를 위해 수십억달러를 지불하고 있다. 일본과 다른 나라들을 위해 수십억달러를 내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하지만 난 군대를 위한 지급은 별도 항목으로 둘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국이 부담하는 주한미군 방위비는 현재 한국과 진행 중인 무역 협상과는 별도 협상에서 다루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협상과 관련해 200개의 합의를 했다고 주장했으나 어느 나라와 했는지는 공개하지 않았다. 그러면서 “앞으로 3~4주에 걸쳐 우리는 (관세 협상을) 끝낼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어떤 나라들은 다시 와서 조정을 요청할 수 있을 것이고, 그러면 난 그걸 고려하겠지만 난 기본적으로 (3~4주 내로) 끝낼 것”이라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중국과의 관세 전쟁 국면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통화했다고 밝혀 직접 협상을 진행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시 주석이 자신에게 전화를 걸어왔다고 주장했으나 언제 통화를 했는지 등 구체적인 내용은 밝히지 않았다.
타임과의 인터뷰가 지난 22일 진행된 점으로 봤을 때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의 통화는 그 이전에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
조희선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韓에 군사비 수십억달러…관세와 별도로 다룰 것”
트럼프 “시진핑과 통화”…中과 관세 직접 협상 시사
이미지 확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AP 뉴시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AP 뉴시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 등 동맹을 방어하는 데 드는 비용을 관세 협상과는 별도 현안으로 다룰 방침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25일(현지시간) 공개된 미 시사주간지 타임과의 인터뷰에서 현재 진행 중인 관세 협상에 대해 “난 가까운 미래의 특정 시점에 국가별로 공정한 가격의 관세를 정할 것”이라며 국가별 관세를 정할 때 “통계와 다른 모든 것”을 고려하겠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부가가치세, 대미 관세 등을 고려 요인으로 언급하며 “우리가 그들의 군대를 위해 돈을 내느냐. 예를 들어 우리는 한국이 있지 않으냐. 우리는 군대를 위해 수십억달러를 지불하고 있다. 일본과 다른 나라들을 위해 수십억달러를 내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하지만 난 군대를 위한 지급은 별도 항목으로 둘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국이 부담하는 주한미군 방위비는 현재 한국과 진행 중인 무역 협상과는 별도 협상에서 다루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협상과 관련해 200개의 합의를 했다고 주장했으나 어느 나라와 했는지는 공개하지 않았다. 그러면서 “앞으로 3~4주에 걸쳐 우리는 (관세 협상을) 끝낼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어떤 나라들은 다시 와서 조정을 요청할 수 있을 것이고, 그러면 난 그걸 고려하겠지만 난 기본적으로 (3~4주 내로) 끝낼 것”이라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중국과의 관세 전쟁 국면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통화했다고 밝혀 직접 협상을 진행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시 주석이 자신에게 전화를 걸어왔다고 주장했으나 언제 통화를 했는지 등 구체적인 내용은 밝히지 않았다.
타임과의 인터뷰가 지난 22일 진행된 점으로 봤을 때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의 통화는 그 이전에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
조희선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韓에 군사비 수십억달러…관세와 별도로 다룰 것”
트럼프 “시진핑과 통화”…中과 관세 직접 협상 시사
이미지 확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AP 뉴시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AP 뉴시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 등 동맹을 방어하는 데 드는 비용을 관세 협상과는 별도 현안으로 다룰 방침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25일(현지시간) 공개된 미 시사주간지 타임과의 인터뷰에서 현재 진행 중인 관세 협상에 대해 “난 가까운 미래의 특정 시점에 국가별로 공정한 가격의 관세를 정할 것”이라며 국가별 관세를 정할 때 “통계와 다른 모든 것”을 고려하겠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부가가치세, 대미 관세 등을 고려 요인으로 언급하며 “우리가 그들의 군대를 위해 돈을 내느냐. 예를 들어 우리는 한국이 있지 않으냐. 우리는 군대를 위해 수십억달러를 지불하고 있다. 일본과 다른 나라들을 위해 수십억달러를 내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하지만 난 군대를 위한 지급은 별도 항목으로 둘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국이 부담하는 주한미군 방위비는 현재 한국과 진행 중인 무역 협상과는 별도 협상에서 다루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협상과 관련해 200개의 합의를 했다고 주장했으나 어느 나라와 했는지는 공개하지 않았다. 그러면서 “앞으로 3~4주에 걸쳐 우리는 (관세 협상을) 끝낼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어떤 나라들은 다시 와서 조정을 요청할 수 있을 것이고, 그러면 난 그걸 고려하겠지만 난 기본적으로 (3~4주 내로) 끝낼 것”이라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중국과의 관세 전쟁 국면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통화했다고 밝혀 직접 협상을 진행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시 주석이 자신에게 전화를 걸어왔다고 주장했으나 언제 통화를 했는지 등 구체적인 내용은 밝히지 않았다.
타임과의 인터뷰가 지난 22일 진행된 점으로 봤을 때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의 통화는 그 이전에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
조희선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韓에 군사비 수십억달러…관세와 별도로 다룰 것”
트럼프 “시진핑과 통화”…中과 관세 직접 협상 시사
이미지 확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AP 뉴시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AP 뉴시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 등 동맹을 방어하는 데 드는 비용을 관세 협상과는 별도 현안으로 다룰 방침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25일(현지시간) 공개된 미 시사주간지 타임과의 인터뷰에서 현재 진행 중인 관세 협상에 대해 “난 가까운 미래의 특정 시점에 국가별로 공정한 가격의 관세를 정할 것”이라며 국가별 관세를 정할 때 “통계와 다른 모든 것”을 고려하겠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부가가치세, 대미 관세 등을 고려 요인으로 언급하며 “우리가 그들의 군대를 위해 돈을 내느냐. 예를 들어 우리는 한국이 있지 않으냐. 우리는 군대를 위해 수십억달러를 지불하고 있다. 일본과 다른 나라들을 위해 수십억달러를 내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하지만 난 군대를 위한 지급은 별도 항목으로 둘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국이 부담하는 주한미군 방위비는 현재 한국과 진행 중인 무역 협상과는 별도 협상에서 다루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협상과 관련해 200개의 합의를 했다고 주장했으나 어느 나라와 했는지는 공개하지 않았다. 그러면서 “앞으로 3~4주에 걸쳐 우리는 (관세 협상을) 끝낼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어떤 나라들은 다시 와서 조정을 요청할 수 있을 것이고, 그러면 난 그걸 고려하겠지만 난 기본적으로 (3~4주 내로) 끝낼 것”이라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중국과의 관세 전쟁 국면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통화했다고 밝혀 직접 협상을 진행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시 주석이 자신에게 전화를 걸어왔다고 주장했으나 언제 통화를 했는지 등 구체적인 내용은 밝히지 않았다.
타임과의 인터뷰가 지난 22일 진행된 점으로 봤을 때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의 통화는 그 이전에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
조희선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