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과체중 남성 자료사진. 123RF
과체중 남성 자료사진. 123RF
30~40대 남성 절반은 비만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자신이 비만하다’고 인식하는 비율은 여성에서 더 높았다.
질병관리청은 지난해 전국 258개 시군구에서 만 19세 이상 성인 23만명을 대상으로 한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한 심층 분석 결과를 10일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체질량지수(BMI)가 25 이상으로 비만에 해당하는 성인은 34.4%로, 2015년 26.3%에서 1.3배 늘었다. 한국 성인 3명 중 1명은 의학적 비만에 해당하는 셈이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41.4%, 여성은 23.0%가 비만이었다. 남성의 비만율이 여성보다 1.8배 높았다.
특히 30대 남성은 53.1%, 40대 남성은 50.3%로 나타나 비만율이 절반이 넘었다. 여성의 경우 연령대가 올라갈수록 비만율도 증가해 60대(26.6%), 70대 이상(27.9%)에서 가장 높았다.
하지만 자신이 비만이라고 느끼는 비율은 여성에서 더 많았다. 비만인 사람 중에선 여성 89.8%, 남성 77.8%가 스스로 비만임을 인지했다. 비만이 아닌 사람 중에서는 여성 28.2%, 남성 13.0%가 스스로 비만이라고 답했다.
‘최근 1년 이내에 체중을 줄이거나 유지하려고 시도한 적이 있다’고 답한 비율은 남성 74.7%, 여성 78.4%였다.
비만율을 17개 시도별 광역 단위로 분석했을 때 가장 높은 지역은 전남(36.8%)이었고 가장 낮은 곳은 세종(29.1%)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지역별 격차에 대해 윤영숙 일산백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노인 등 (비만) 취약계층이 많이 거주하는 것과 신체활동이 떨어질 수 있는 환경적 요인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통계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우리나라 15세 이상 과체중·비만 비율은 36.5%로, OECD 평균(56.4%)보다 20%포인트가량 낮았다.
비만은 심혈관질환, 제2형 당뇨병, 근골격계 질환 등을 유발하며 특히 암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비만 상태에서는 대사·호르몬·면역 기능이 변화해 대장·간·췌장암 등의 발생 가능성이 커진다.
질병청은 “아직 우리나라 비만율은 OECD 평균보다는 낮지만, 생활 습관 변화와 서구화한 식단의 영향으로 계속 비만율이 높아지고 있어 모니터링과 건강관리 정책 강화가 필요하다”면서 “최근 비만치료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 단순한 약물 치료를 넘어 반드시 식이 조절과 운동을 포함한 생활 습관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정수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