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 벨트’ 아파트값 상승세 주도
수원·안양도 ‘평당 3000만원’ 넘어
이미지 확대
또 치솟는 서울 아파트값 서울 성동과 마포구 등 ‘한강 벨트’ 비규제 지역의 아파트 가격이 크게 올랐다. 이에 9월 셋째 주 서울 전체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도 직전 주 대비 0.03% 포인트 상승했다. 사진은 18일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시내 아파트 단지 모습.
연합뉴스
또 치솟는 서울 아파트값
서울 성동과 마포구 등 ‘한강 벨트’ 비규제 지역의 아파트 가격이 크게 올랐다. 이에 9월 셋째 주 서울 전체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도 직전 주 대비 0.03% 포인트 상승했다. 사진은 18일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시내 아파트 단지 모습.
연합뉴스
정부가 내놓은 9·7 공급대책에도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 폭이 2주 연속 확대됐다. 성동구와 마포구 등 규제지역이 아닌 ‘한강 벨트’를 중심으로 오름폭 확대가 두드러졌다.
18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9월 셋째 주(9월15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전체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은 0.12%로 직전 주 대비 0.03% 포인트 커졌다. 6·27 대출 규제 이후 상승세가 꺾였다가, 지난주 0.01% 포인트 상승한 데 이어 2주째 확대 흐름이 이어졌다.
성동구(0.27%→0.41%)의 가격 상승 폭이 직전주 대비 0.14% 포인트 뛰었고, 마포구(0.17%→0.28%) 0.11% 포인트, 양천구(0.10%→0.19%)가 0.09% 포인트 확대하면서 서울 전체 상승세를 주도했다.
이미지 확대

반면 강남구(0.15%→0.12%)는 오름폭이 축소됐다. 서초구(0.14%→0.17%), 송파구(0.14%→0.19%), 강동구(0.10%→0.14%)는 오름세가 다소 확대됐다. 강남 3구와 함께 규제지역으로 묶인 용산구(0.14%→0.12%)는 오름폭이 줄었다.
9·7 대책 이후 2주 동안 마포구와 성동구의 아파트값이 크게 뛰면서 정부가 직권으로 규제지역을 추가 지정할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서울 아파트값 상승 폭 확대로 수도권 전체 오름폭도 0.03%에서 0.04%로 직전주 대비 커졌다. 인천은 보합을 유지했고, 경기도는 보합에서 0.01% 상승으로 전환했다.
한편 올해 서울 아파트값 상승으로 서울 인근 수원과 안양 등의 아파트 분양가도 따라 오르는 추세다. 이날 부동산 리서치업체 부동산R114에 따르면 과천 분양가는 3.3㎡당 5992만원으로 전국 최고 수준의 분양가를 기록 중이다. 안양(3057만원), 수원(3164만원), 구리(3122만원) 등도 3000만원을 웃돌았다.
김기중 기자
2025-09-19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한강 벨트’ 아파트값 상승세 주도
수원·안양도 ‘평당 3000만원’ 넘어
이미지 확대
또 치솟는 서울 아파트값 서울 성동과 마포구 등 ‘한강 벨트’ 비규제 지역의 아파트 가격이 크게 올랐다. 이에 9월 셋째 주 서울 전체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도 직전 주 대비 0.03% 포인트 상승했다. 사진은 18일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시내 아파트 단지 모습.
연합뉴스
또 치솟는 서울 아파트값
서울 성동과 마포구 등 ‘한강 벨트’ 비규제 지역의 아파트 가격이 크게 올랐다. 이에 9월 셋째 주 서울 전체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도 직전 주 대비 0.03% 포인트 상승했다. 사진은 18일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시내 아파트 단지 모습.
연합뉴스
정부가 내놓은 9·7 공급대책에도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 폭이 2주 연속 확대됐다. 성동구와 마포구 등 규제지역이 아닌 ‘한강 벨트’를 중심으로 오름폭 확대가 두드러졌다.
18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9월 셋째 주(9월15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전체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은 0.12%로 직전 주 대비 0.03% 포인트 커졌다. 6·27 대출 규제 이후 상승세가 꺾였다가, 지난주 0.01% 포인트 상승한 데 이어 2주째 확대 흐름이 이어졌다.
성동구(0.27%→0.41%)의 가격 상승 폭이 직전주 대비 0.14% 포인트 뛰었고, 마포구(0.17%→0.28%) 0.11% 포인트, 양천구(0.10%→0.19%)가 0.09% 포인트 확대하면서 서울 전체 상승세를 주도했다.
이미지 확대

반면 강남구(0.15%→0.12%)는 오름폭이 축소됐다. 서초구(0.14%→0.17%), 송파구(0.14%→0.19%), 강동구(0.10%→0.14%)는 오름세가 다소 확대됐다. 강남 3구와 함께 규제지역으로 묶인 용산구(0.14%→0.12%)는 오름폭이 줄었다.
9·7 대책 이후 2주 동안 마포구와 성동구의 아파트값이 크게 뛰면서 정부가 직권으로 규제지역을 추가 지정할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서울 아파트값 상승 폭 확대로 수도권 전체 오름폭도 0.03%에서 0.04%로 직전주 대비 커졌다. 인천은 보합을 유지했고, 경기도는 보합에서 0.01% 상승으로 전환했다.
한편 올해 서울 아파트값 상승으로 서울 인근 수원과 안양 등의 아파트 분양가도 따라 오르는 추세다. 이날 부동산 리서치업체 부동산R114에 따르면 과천 분양가는 3.3㎡당 5992만원으로 전국 최고 수준의 분양가를 기록 중이다. 안양(3057만원), 수원(3164만원), 구리(3122만원) 등도 3000만원을 웃돌았다.
김기중 기자
2025-09-19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한강 벨트’ 아파트값 상승세 주도
수원·안양도 ‘평당 3000만원’ 넘어
이미지 확대
또 치솟는 서울 아파트값 서울 성동과 마포구 등 ‘한강 벨트’ 비규제 지역의 아파트 가격이 크게 올랐다. 이에 9월 셋째 주 서울 전체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도 직전 주 대비 0.03% 포인트 상승했다. 사진은 18일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시내 아파트 단지 모습.
연합뉴스
또 치솟는 서울 아파트값
서울 성동과 마포구 등 ‘한강 벨트’ 비규제 지역의 아파트 가격이 크게 올랐다. 이에 9월 셋째 주 서울 전체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도 직전 주 대비 0.03% 포인트 상승했다. 사진은 18일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시내 아파트 단지 모습.
연합뉴스
정부가 내놓은 9·7 공급대책에도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 폭이 2주 연속 확대됐다. 성동구와 마포구 등 규제지역이 아닌 ‘한강 벨트’를 중심으로 오름폭 확대가 두드러졌다.
18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9월 셋째 주(9월15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전체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은 0.12%로 직전 주 대비 0.03% 포인트 커졌다. 6·27 대출 규제 이후 상승세가 꺾였다가, 지난주 0.01% 포인트 상승한 데 이어 2주째 확대 흐름이 이어졌다.
성동구(0.27%→0.41%)의 가격 상승 폭이 직전주 대비 0.14% 포인트 뛰었고, 마포구(0.17%→0.28%) 0.11% 포인트, 양천구(0.10%→0.19%)가 0.09% 포인트 확대하면서 서울 전체 상승세를 주도했다.
이미지 확대

반면 강남구(0.15%→0.12%)는 오름폭이 축소됐다. 서초구(0.14%→0.17%), 송파구(0.14%→0.19%), 강동구(0.10%→0.14%)는 오름세가 다소 확대됐다. 강남 3구와 함께 규제지역으로 묶인 용산구(0.14%→0.12%)는 오름폭이 줄었다.
9·7 대책 이후 2주 동안 마포구와 성동구의 아파트값이 크게 뛰면서 정부가 직권으로 규제지역을 추가 지정할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서울 아파트값 상승 폭 확대로 수도권 전체 오름폭도 0.03%에서 0.04%로 직전주 대비 커졌다. 인천은 보합을 유지했고, 경기도는 보합에서 0.01% 상승으로 전환했다.
한편 올해 서울 아파트값 상승으로 서울 인근 수원과 안양 등의 아파트 분양가도 따라 오르는 추세다. 이날 부동산 리서치업체 부동산R114에 따르면 과천 분양가는 3.3㎡당 5992만원으로 전국 최고 수준의 분양가를 기록 중이다. 안양(3057만원), 수원(3164만원), 구리(3122만원) 등도 3000만원을 웃돌았다.
김기중 기자
2025-09-19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한강 벨트’ 아파트값 상승세 주도
수원·안양도 ‘평당 3000만원’ 넘어
이미지 확대
또 치솟는 서울 아파트값 서울 성동과 마포구 등 ‘한강 벨트’ 비규제 지역의 아파트 가격이 크게 올랐다. 이에 9월 셋째 주 서울 전체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도 직전 주 대비 0.03% 포인트 상승했다. 사진은 18일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시내 아파트 단지 모습.
연합뉴스
또 치솟는 서울 아파트값
서울 성동과 마포구 등 ‘한강 벨트’ 비규제 지역의 아파트 가격이 크게 올랐다. 이에 9월 셋째 주 서울 전체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도 직전 주 대비 0.03% 포인트 상승했다. 사진은 18일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시내 아파트 단지 모습.
연합뉴스
정부가 내놓은 9·7 공급대책에도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 폭이 2주 연속 확대됐다. 성동구와 마포구 등 규제지역이 아닌 ‘한강 벨트’를 중심으로 오름폭 확대가 두드러졌다.
18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9월 셋째 주(9월15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전체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은 0.12%로 직전 주 대비 0.03% 포인트 커졌다. 6·27 대출 규제 이후 상승세가 꺾였다가, 지난주 0.01% 포인트 상승한 데 이어 2주째 확대 흐름이 이어졌다.
성동구(0.27%→0.41%)의 가격 상승 폭이 직전주 대비 0.14% 포인트 뛰었고, 마포구(0.17%→0.28%) 0.11% 포인트, 양천구(0.10%→0.19%)가 0.09% 포인트 확대하면서 서울 전체 상승세를 주도했다.
이미지 확대

반면 강남구(0.15%→0.12%)는 오름폭이 축소됐다. 서초구(0.14%→0.17%), 송파구(0.14%→0.19%), 강동구(0.10%→0.14%)는 오름세가 다소 확대됐다. 강남 3구와 함께 규제지역으로 묶인 용산구(0.14%→0.12%)는 오름폭이 줄었다.
9·7 대책 이후 2주 동안 마포구와 성동구의 아파트값이 크게 뛰면서 정부가 직권으로 규제지역을 추가 지정할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서울 아파트값 상승 폭 확대로 수도권 전체 오름폭도 0.03%에서 0.04%로 직전주 대비 커졌다. 인천은 보합을 유지했고, 경기도는 보합에서 0.01% 상승으로 전환했다.
한편 올해 서울 아파트값 상승으로 서울 인근 수원과 안양 등의 아파트 분양가도 따라 오르는 추세다. 이날 부동산 리서치업체 부동산R114에 따르면 과천 분양가는 3.3㎡당 5992만원으로 전국 최고 수준의 분양가를 기록 중이다. 안양(3057만원), 수원(3164만원), 구리(3122만원) 등도 3000만원을 웃돌았다.
김기중 기자
2025-09-19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