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 갈등 여파 수술실 가동 축소
지난해 기증자 수도 11.3% 줄어
전공의 복귀했지만 회복 쉽잖아
기증 활성화·수술 보상 개선 시급
이미지 확대
코로나19 때도 버텼던 장기이식이 올해 더 크게 꺾였다. 1~8월 장기이식 건수는 코로나 확산기였던 2022년 같은 기간보다 적었고, 지난해 기증자 수도 전년 대비 11.3% 줄어 기증 풀 자체가 위축됐다. 전공의 집단행동 여파와 기증자 감소가 겹치면서 ‘최후의 보루’인 이식 기회가 좁아지고 있다. 장기기증 활성화와 수술 보상 체계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5일 국립장기조직혈액관리원이 전진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8월 장기이식 건수는 833건으로, 2022년 같은 기간(929건)보다 줄었다. 2023년 1241건에서 2024년 1002건으로 감소한 데 이어 3년 만에 최저치다. 병원별로는 서울아산병원이 지난해 1~8월 108건에서 올해 84건으로 22% 감소했고, 세브란스병원도 같은 기간 94건에서 80건으로 11% 줄었다.
가장 큰 원인은 수술실 가동 축소였다. 지난해 의정 갈등으로 마취과 전임의와 전공의가 빠지면서 상급종합병원 수술실이 장기간 축소 운영됐고, 그 여파가 올해 8월까지 이어졌다. 전 의원은 “전공의 파업 여파로 장기이식이 급감한 것은 당연한 결과”라며 “지역 간 의료 협업 네트워크 구축 등 종합 대책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9월 들어 전공의가 복귀했지만, 기증자 자체도 급감해 회복은 쉽지 않을 전망이다. ‘2024년도 장기 등 기증 및 이식 통계연보’에 따르면 뇌사 기증자는 2023년 483명에서 2024년 397명으로 17.8% 줄었다. 반면 이식 대기자는 2020년 4만3182명에서 2024년 5만4789명으로 매년 증가했다. 고령화에 이식 수요가 늘고 있지만, 건강한 장기 확보는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
정부는 기증 확대를 위해 해외에서 보편화된 순환정지 후 장기기증(DCD) 도입도 검토 중이다. 현재는 가족 외에는 뇌사자·사망자 기증만 가능하지만, ‘심정지 후 기증’이 고령화 시대 장기 부족 해법이 될 수 있다는 의견이 나온다.
세종 이현정 기자
2025-09-16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의정 갈등 여파 수술실 가동 축소
지난해 기증자 수도 11.3% 줄어
전공의 복귀했지만 회복 쉽잖아
기증 활성화·수술 보상 개선 시급
이미지 확대
코로나19 때도 버텼던 장기이식이 올해 더 크게 꺾였다. 1~8월 장기이식 건수는 코로나 확산기였던 2022년 같은 기간보다 적었고, 지난해 기증자 수도 전년 대비 11.3% 줄어 기증 풀 자체가 위축됐다. 전공의 집단행동 여파와 기증자 감소가 겹치면서 ‘최후의 보루’인 이식 기회가 좁아지고 있다. 장기기증 활성화와 수술 보상 체계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5일 국립장기조직혈액관리원이 전진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8월 장기이식 건수는 833건으로, 2022년 같은 기간(929건)보다 줄었다. 2023년 1241건에서 2024년 1002건으로 감소한 데 이어 3년 만에 최저치다. 병원별로는 서울아산병원이 지난해 1~8월 108건에서 올해 84건으로 22% 감소했고, 세브란스병원도 같은 기간 94건에서 80건으로 11% 줄었다.
가장 큰 원인은 수술실 가동 축소였다. 지난해 의정 갈등으로 마취과 전임의와 전공의가 빠지면서 상급종합병원 수술실이 장기간 축소 운영됐고, 그 여파가 올해 8월까지 이어졌다. 전 의원은 “전공의 파업 여파로 장기이식이 급감한 것은 당연한 결과”라며 “지역 간 의료 협업 네트워크 구축 등 종합 대책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9월 들어 전공의가 복귀했지만, 기증자 자체도 급감해 회복은 쉽지 않을 전망이다. ‘2024년도 장기 등 기증 및 이식 통계연보’에 따르면 뇌사 기증자는 2023년 483명에서 2024년 397명으로 17.8% 줄었다. 반면 이식 대기자는 2020년 4만3182명에서 2024년 5만4789명으로 매년 증가했다. 고령화에 이식 수요가 늘고 있지만, 건강한 장기 확보는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
정부는 기증 확대를 위해 해외에서 보편화된 순환정지 후 장기기증(DCD) 도입도 검토 중이다. 현재는 가족 외에는 뇌사자·사망자 기증만 가능하지만, ‘심정지 후 기증’이 고령화 시대 장기 부족 해법이 될 수 있다는 의견이 나온다.
세종 이현정 기자
2025-09-16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의정 갈등 여파 수술실 가동 축소
지난해 기증자 수도 11.3% 줄어
전공의 복귀했지만 회복 쉽잖아
기증 활성화·수술 보상 개선 시급
이미지 확대
코로나19 때도 버텼던 장기이식이 올해 더 크게 꺾였다. 1~8월 장기이식 건수는 코로나 확산기였던 2022년 같은 기간보다 적었고, 지난해 기증자 수도 전년 대비 11.3% 줄어 기증 풀 자체가 위축됐다. 전공의 집단행동 여파와 기증자 감소가 겹치면서 ‘최후의 보루’인 이식 기회가 좁아지고 있다. 장기기증 활성화와 수술 보상 체계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5일 국립장기조직혈액관리원이 전진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8월 장기이식 건수는 833건으로, 2022년 같은 기간(929건)보다 줄었다. 2023년 1241건에서 2024년 1002건으로 감소한 데 이어 3년 만에 최저치다. 병원별로는 서울아산병원이 지난해 1~8월 108건에서 올해 84건으로 22% 감소했고, 세브란스병원도 같은 기간 94건에서 80건으로 11% 줄었다.
가장 큰 원인은 수술실 가동 축소였다. 지난해 의정 갈등으로 마취과 전임의와 전공의가 빠지면서 상급종합병원 수술실이 장기간 축소 운영됐고, 그 여파가 올해 8월까지 이어졌다. 전 의원은 “전공의 파업 여파로 장기이식이 급감한 것은 당연한 결과”라며 “지역 간 의료 협업 네트워크 구축 등 종합 대책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9월 들어 전공의가 복귀했지만, 기증자 자체도 급감해 회복은 쉽지 않을 전망이다. ‘2024년도 장기 등 기증 및 이식 통계연보’에 따르면 뇌사 기증자는 2023년 483명에서 2024년 397명으로 17.8% 줄었다. 반면 이식 대기자는 2020년 4만3182명에서 2024년 5만4789명으로 매년 증가했다. 고령화에 이식 수요가 늘고 있지만, 건강한 장기 확보는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
정부는 기증 확대를 위해 해외에서 보편화된 순환정지 후 장기기증(DCD) 도입도 검토 중이다. 현재는 가족 외에는 뇌사자·사망자 기증만 가능하지만, ‘심정지 후 기증’이 고령화 시대 장기 부족 해법이 될 수 있다는 의견이 나온다.
세종 이현정 기자
2025-09-16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의정 갈등 여파 수술실 가동 축소
지난해 기증자 수도 11.3% 줄어
전공의 복귀했지만 회복 쉽잖아
기증 활성화·수술 보상 개선 시급
이미지 확대
코로나19 때도 버텼던 장기이식이 올해 더 크게 꺾였다. 1~8월 장기이식 건수는 코로나 확산기였던 2022년 같은 기간보다 적었고, 지난해 기증자 수도 전년 대비 11.3% 줄어 기증 풀 자체가 위축됐다. 전공의 집단행동 여파와 기증자 감소가 겹치면서 ‘최후의 보루’인 이식 기회가 좁아지고 있다. 장기기증 활성화와 수술 보상 체계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5일 국립장기조직혈액관리원이 전진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8월 장기이식 건수는 833건으로, 2022년 같은 기간(929건)보다 줄었다. 2023년 1241건에서 2024년 1002건으로 감소한 데 이어 3년 만에 최저치다. 병원별로는 서울아산병원이 지난해 1~8월 108건에서 올해 84건으로 22% 감소했고, 세브란스병원도 같은 기간 94건에서 80건으로 11% 줄었다.
가장 큰 원인은 수술실 가동 축소였다. 지난해 의정 갈등으로 마취과 전임의와 전공의가 빠지면서 상급종합병원 수술실이 장기간 축소 운영됐고, 그 여파가 올해 8월까지 이어졌다. 전 의원은 “전공의 파업 여파로 장기이식이 급감한 것은 당연한 결과”라며 “지역 간 의료 협업 네트워크 구축 등 종합 대책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9월 들어 전공의가 복귀했지만, 기증자 자체도 급감해 회복은 쉽지 않을 전망이다. ‘2024년도 장기 등 기증 및 이식 통계연보’에 따르면 뇌사 기증자는 2023년 483명에서 2024년 397명으로 17.8% 줄었다. 반면 이식 대기자는 2020년 4만3182명에서 2024년 5만4789명으로 매년 증가했다. 고령화에 이식 수요가 늘고 있지만, 건강한 장기 확보는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
정부는 기증 확대를 위해 해외에서 보편화된 순환정지 후 장기기증(DCD) 도입도 검토 중이다. 현재는 가족 외에는 뇌사자·사망자 기증만 가능하지만, ‘심정지 후 기증’이 고령화 시대 장기 부족 해법이 될 수 있다는 의견이 나온다.
세종 이현정 기자
2025-09-16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