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정부와 여당, 장르가 다르다”
검찰·사법·언론 3대 개혁 속도전 입장 차
“재판 중지법 추진 중단…법원에 대한 경고”
“국힘과 DNA 다르다…용산 출장소 아냐”
이미지 확대
발언하는 장경태 소위원장 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법제사법위원회 예산결산기금심사소위원회에서 장경태 소위원장이 발언하고 있다. 2025.11.07.
발언하는 장경태 소위원장
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법제사법위원회 예산결산기금심사소위원회에서 장경태 소위원장이 발언하고 있다. 2025.11.07.
장경태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7일 최근 ‘명청(이재명 대통령·정청래 민주당 대표) 갈등’ 논란에 대해 “저는 명청 갈등이라는 명칭 자체가 성립할 수 없다고 본다”면서 “집권 여당은 이재명 정부의 성공을 위해서 당연히 뒷받침하는 노력을 하는 것이고, 다만 대통령실·정부와 여당은 장르가 다르다”고 주장했다.
장 의원은 이날 CBS 라디오에 출연해 “당연히 정당은 락을 부를 수밖에 없는 것”이라며 “저희는 신속하고 강력한 개혁 입법을 추진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당연히 정부 입장에서는 대통령실에서 ‘아주 안정적이고 신중하게 검토하겠다’는 표현이 나와야지 그러면 ‘졸속으로 불안정하게 추진하겠다’라는 표현이 나오겠냐”며 “당연히 저희는 락을 부르는 것이고 대통령실과 정부는 발라드를 부르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검찰·사법·언론 3대 개혁 속도전에 나선 여당을 상대로 안정감을 강조해온 대통령실과 정부가 견해차를 보인 건 단순한 역할 차이일 뿐이라는 취지다.
이미지 확대
답변하는 강훈식 비서실장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이 지난 6일 국회에서 열린 운영위원회의 대통령비서실과 국가안보실, 대통령경호처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위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2025.11.6
답변하는 강훈식 비서실장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이 지난 6일 국회에서 열린 운영위원회의 대통령비서실과 국가안보실, 대통령경호처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위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2025.11.6
장 의원은 대통령실에서 이른바 ‘대통령 재판 중지법’(형사소송법 개정안) 추진 중단 메시지가 나온 데 대해서도 “여야의 여러 공방 과정에서 대통령실이 강력한 의지로 ‘정쟁에 참여할 수는 없다. 그러니까 정쟁에 끌어들이지 마라’라는 메시지를 낸 것”이라고 했다.
특히 그는 “재판 중지법 같은 경우는 저희가 이미 의원총회에서도 여러 차례 상의했던 법이기 때문에 이거를 ‘(대통령실과) 상의했냐 안 했냐’ 마치 저희가 ‘대통령실에 허락을 맡았냐 안 받았냐’는 느낌으로 논의해서는 안 되는 거 같다”고 선을 그었다.
그러면서 “저희는 국민의힘과 DNA가 다르다. 용산 출장소가 아니다”라면서 “저는 (대통령실의) 반박이라고 이해하지 않고 오히려 법원에 대한 강력한 경고 메시지라고 이해한다”고 강조했다.
장 의원은 “여당은 여당의 역할이 있고, 정부도 정부의 역할이 있다”면서 “저는 최고위원 시절부터 이재명 대표와 정청래 수석 최고위원과의 관계를 너무 잘 알고 있기 때문에 갈등이라는 표현 자체가 성립할 수가 없다”고 부연했다.
강윤혁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대통령실·정부와 여당, 장르가 다르다”
검찰·사법·언론 3대 개혁 속도전 입장 차
“재판 중지법 추진 중단…법원에 대한 경고”
“국힘과 DNA 다르다…용산 출장소 아냐”
이미지 확대
발언하는 장경태 소위원장 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법제사법위원회 예산결산기금심사소위원회에서 장경태 소위원장이 발언하고 있다. 2025.11.07.
발언하는 장경태 소위원장
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법제사법위원회 예산결산기금심사소위원회에서 장경태 소위원장이 발언하고 있다. 2025.11.07.
장경태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7일 최근 ‘명청(이재명 대통령·정청래 민주당 대표) 갈등’ 논란에 대해 “저는 명청 갈등이라는 명칭 자체가 성립할 수 없다고 본다”면서 “집권 여당은 이재명 정부의 성공을 위해서 당연히 뒷받침하는 노력을 하는 것이고, 다만 대통령실·정부와 여당은 장르가 다르다”고 주장했다.
장 의원은 이날 CBS 라디오에 출연해 “당연히 정당은 락을 부를 수밖에 없는 것”이라며 “저희는 신속하고 강력한 개혁 입법을 추진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당연히 정부 입장에서는 대통령실에서 ‘아주 안정적이고 신중하게 검토하겠다’는 표현이 나와야지 그러면 ‘졸속으로 불안정하게 추진하겠다’라는 표현이 나오겠냐”며 “당연히 저희는 락을 부르는 것이고 대통령실과 정부는 발라드를 부르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검찰·사법·언론 3대 개혁 속도전에 나선 여당을 상대로 안정감을 강조해온 대통령실과 정부가 견해차를 보인 건 단순한 역할 차이일 뿐이라는 취지다.
이미지 확대
답변하는 강훈식 비서실장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이 지난 6일 국회에서 열린 운영위원회의 대통령비서실과 국가안보실, 대통령경호처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위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2025.11.6
답변하는 강훈식 비서실장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이 지난 6일 국회에서 열린 운영위원회의 대통령비서실과 국가안보실, 대통령경호처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위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2025.11.6
장 의원은 대통령실에서 이른바 ‘대통령 재판 중지법’(형사소송법 개정안) 추진 중단 메시지가 나온 데 대해서도 “여야의 여러 공방 과정에서 대통령실이 강력한 의지로 ‘정쟁에 참여할 수는 없다. 그러니까 정쟁에 끌어들이지 마라’라는 메시지를 낸 것”이라고 했다.
특히 그는 “재판 중지법 같은 경우는 저희가 이미 의원총회에서도 여러 차례 상의했던 법이기 때문에 이거를 ‘(대통령실과) 상의했냐 안 했냐’ 마치 저희가 ‘대통령실에 허락을 맡았냐 안 받았냐’는 느낌으로 논의해서는 안 되는 거 같다”고 선을 그었다.
그러면서 “저희는 국민의힘과 DNA가 다르다. 용산 출장소가 아니다”라면서 “저는 (대통령실의) 반박이라고 이해하지 않고 오히려 법원에 대한 강력한 경고 메시지라고 이해한다”고 강조했다.
장 의원은 “여당은 여당의 역할이 있고, 정부도 정부의 역할이 있다”면서 “저는 최고위원 시절부터 이재명 대표와 정청래 수석 최고위원과의 관계를 너무 잘 알고 있기 때문에 갈등이라는 표현 자체가 성립할 수가 없다”고 부연했다.
강윤혁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대통령실·정부와 여당, 장르가 다르다”
검찰·사법·언론 3대 개혁 속도전 입장 차
“재판 중지법 추진 중단…법원에 대한 경고”
“국힘과 DNA 다르다…용산 출장소 아냐”
이미지 확대
발언하는 장경태 소위원장 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법제사법위원회 예산결산기금심사소위원회에서 장경태 소위원장이 발언하고 있다. 2025.11.07.
발언하는 장경태 소위원장
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법제사법위원회 예산결산기금심사소위원회에서 장경태 소위원장이 발언하고 있다. 2025.11.07.
장경태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7일 최근 ‘명청(이재명 대통령·정청래 민주당 대표) 갈등’ 논란에 대해 “저는 명청 갈등이라는 명칭 자체가 성립할 수 없다고 본다”면서 “집권 여당은 이재명 정부의 성공을 위해서 당연히 뒷받침하는 노력을 하는 것이고, 다만 대통령실·정부와 여당은 장르가 다르다”고 주장했다.
장 의원은 이날 CBS 라디오에 출연해 “당연히 정당은 락을 부를 수밖에 없는 것”이라며 “저희는 신속하고 강력한 개혁 입법을 추진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당연히 정부 입장에서는 대통령실에서 ‘아주 안정적이고 신중하게 검토하겠다’는 표현이 나와야지 그러면 ‘졸속으로 불안정하게 추진하겠다’라는 표현이 나오겠냐”며 “당연히 저희는 락을 부르는 것이고 대통령실과 정부는 발라드를 부르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검찰·사법·언론 3대 개혁 속도전에 나선 여당을 상대로 안정감을 강조해온 대통령실과 정부가 견해차를 보인 건 단순한 역할 차이일 뿐이라는 취지다.
이미지 확대
답변하는 강훈식 비서실장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이 지난 6일 국회에서 열린 운영위원회의 대통령비서실과 국가안보실, 대통령경호처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위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2025.11.6
답변하는 강훈식 비서실장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이 지난 6일 국회에서 열린 운영위원회의 대통령비서실과 국가안보실, 대통령경호처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위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2025.11.6
장 의원은 대통령실에서 이른바 ‘대통령 재판 중지법’(형사소송법 개정안) 추진 중단 메시지가 나온 데 대해서도 “여야의 여러 공방 과정에서 대통령실이 강력한 의지로 ‘정쟁에 참여할 수는 없다. 그러니까 정쟁에 끌어들이지 마라’라는 메시지를 낸 것”이라고 했다.
특히 그는 “재판 중지법 같은 경우는 저희가 이미 의원총회에서도 여러 차례 상의했던 법이기 때문에 이거를 ‘(대통령실과) 상의했냐 안 했냐’ 마치 저희가 ‘대통령실에 허락을 맡았냐 안 받았냐’는 느낌으로 논의해서는 안 되는 거 같다”고 선을 그었다.
그러면서 “저희는 국민의힘과 DNA가 다르다. 용산 출장소가 아니다”라면서 “저는 (대통령실의) 반박이라고 이해하지 않고 오히려 법원에 대한 강력한 경고 메시지라고 이해한다”고 강조했다.
장 의원은 “여당은 여당의 역할이 있고, 정부도 정부의 역할이 있다”면서 “저는 최고위원 시절부터 이재명 대표와 정청래 수석 최고위원과의 관계를 너무 잘 알고 있기 때문에 갈등이라는 표현 자체가 성립할 수가 없다”고 부연했다.
강윤혁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대통령실·정부와 여당, 장르가 다르다”
검찰·사법·언론 3대 개혁 속도전 입장 차
“재판 중지법 추진 중단…법원에 대한 경고”
“국힘과 DNA 다르다…용산 출장소 아냐”
이미지 확대
발언하는 장경태 소위원장 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법제사법위원회 예산결산기금심사소위원회에서 장경태 소위원장이 발언하고 있다. 2025.11.07.
발언하는 장경태 소위원장
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법제사법위원회 예산결산기금심사소위원회에서 장경태 소위원장이 발언하고 있다. 2025.11.07.
장경태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7일 최근 ‘명청(이재명 대통령·정청래 민주당 대표) 갈등’ 논란에 대해 “저는 명청 갈등이라는 명칭 자체가 성립할 수 없다고 본다”면서 “집권 여당은 이재명 정부의 성공을 위해서 당연히 뒷받침하는 노력을 하는 것이고, 다만 대통령실·정부와 여당은 장르가 다르다”고 주장했다.
장 의원은 이날 CBS 라디오에 출연해 “당연히 정당은 락을 부를 수밖에 없는 것”이라며 “저희는 신속하고 강력한 개혁 입법을 추진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당연히 정부 입장에서는 대통령실에서 ‘아주 안정적이고 신중하게 검토하겠다’는 표현이 나와야지 그러면 ‘졸속으로 불안정하게 추진하겠다’라는 표현이 나오겠냐”며 “당연히 저희는 락을 부르는 것이고 대통령실과 정부는 발라드를 부르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검찰·사법·언론 3대 개혁 속도전에 나선 여당을 상대로 안정감을 강조해온 대통령실과 정부가 견해차를 보인 건 단순한 역할 차이일 뿐이라는 취지다.
이미지 확대
답변하는 강훈식 비서실장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이 지난 6일 국회에서 열린 운영위원회의 대통령비서실과 국가안보실, 대통령경호처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위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2025.11.6
답변하는 강훈식 비서실장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이 지난 6일 국회에서 열린 운영위원회의 대통령비서실과 국가안보실, 대통령경호처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위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2025.11.6
장 의원은 대통령실에서 이른바 ‘대통령 재판 중지법’(형사소송법 개정안) 추진 중단 메시지가 나온 데 대해서도 “여야의 여러 공방 과정에서 대통령실이 강력한 의지로 ‘정쟁에 참여할 수는 없다. 그러니까 정쟁에 끌어들이지 마라’라는 메시지를 낸 것”이라고 했다.
특히 그는 “재판 중지법 같은 경우는 저희가 이미 의원총회에서도 여러 차례 상의했던 법이기 때문에 이거를 ‘(대통령실과) 상의했냐 안 했냐’ 마치 저희가 ‘대통령실에 허락을 맡았냐 안 받았냐’는 느낌으로 논의해서는 안 되는 거 같다”고 선을 그었다.
그러면서 “저희는 국민의힘과 DNA가 다르다. 용산 출장소가 아니다”라면서 “저는 (대통령실의) 반박이라고 이해하지 않고 오히려 법원에 대한 강력한 경고 메시지라고 이해한다”고 강조했다.
장 의원은 “여당은 여당의 역할이 있고, 정부도 정부의 역할이 있다”면서 “저는 최고위원 시절부터 이재명 대표와 정청래 수석 최고위원과의 관계를 너무 잘 알고 있기 때문에 갈등이라는 표현 자체가 성립할 수가 없다”고 부연했다.
강윤혁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