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아니스트 신창용 23일 ‘가을밤콘서트’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2번
美·서울 국제 콩쿠르 우승했던 곡
무엇인가 호소하는 듯한 감정 느껴
진심과 위로가 관객들에게 닿기를
이미지 확대
오는 23일 서울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열리는 ‘가을밤콘서트’ 무대에 오르는 피아니스트 신창용은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2번에 대해 “굉장히 대중적인 곡이기도 하고 개인적으로는 무척 고마운 곡”이라며 “틀리지 않고 잘 쳐야 한다는 압박에서 벗어나 더욱 성숙해진 감성으로 곡의 의미를 표현하겠다”고 말했다.
마스트미디어 제공
오는 23일 서울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열리는 ‘가을밤콘서트’ 무대에 오르는 피아니스트 신창용은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2번에 대해 “굉장히 대중적인 곡이기도 하고 개인적으로는 무척 고마운 곡”이라며 “틀리지 않고 잘 쳐야 한다는 압박에서 벗어나 더욱 성숙해진 감성으로 곡의 의미를 표현하겠다”고 말했다.
마스트미디어 제공
피아니스트 신창용(31)에게는 ‘소통 잘하는 연주자’라는 수식어가 따라붙는다. 무대를 준비하고 연주하는 데는 더없이 엄격하고 진지하다. 마티네 콘서트 진행을 하고 유튜브에 출연할 때는 활달한 성격이 나온다. 대중 친화적인 활동을 많이 하는데 정작 스스로는 “낯을 가린다”고 했다. “사람들 만나는 걸 좋아하는데 쉽게 친해지지는 못한다”는 그는 그 열정을 공연으로 풀어내고 있다.
지난달 24일 서울 예술의전당에서 한 인터뷰도 아트센터인천 마티네 콘서트 ‘신창용의 뮤직 라운지’를 끝내고 온 참이었다. 그는 이틀 전 한국에 들어왔다며 “시차 때문에 정신없는 와중에 연주가 끝났더라”며 너스레를 떨었다. 10여년째 미국 보스턴에 거주하면서도 한국 활동을 소홀히 하지 않는다. 지난해부터 분기마다 마티네 공연을 열고 국내외 오케스트라와 협연을 이어 왔다. 올 상반기에도 피아노 리사이틀(독주회)과 실내악 연주회를 열었고 11월에는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의 ‘전쟁 소나타’(6~8번)로 독주회가 예정돼 있다.
오는 23일에는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서울신문이 주최하는 ‘가을밤콘서트’ 무대에 올라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2번 C단조를 코리안챔버오케스트라와 협연한다.
신창용은 이 곡을 “개인적으로 너무나 고마운 곡”이라고 했다. 2016년 미국 힐턴 헤드 국제 피아노 콩쿠르, 2017년 서울국제음악콩쿠르에서 그에게 우승을 안겨 준 곡이다. 이듬해 열린 지나 바카우어 국제콩쿠르에서는 프레데리크 쇼팽 곡으로 한국인 최초 1위를 했다. 그는 “심사위원 평가는 기억나질 않지만 콩쿠르에서 굉장히 간절하게 연주했던 감정은 확실히 남아 있다”고 떠올렸다.
지난해까지도 이 곡을 연주할 기회가 없었다는 그는 “그때는 기술적인 면에 비중을 많이 두었다면 이번 공연에선 조금 더 성숙해진 감성으로 표현하고자 한다”고 했다.
“그때는 잘해야 한다, 틀리면 안 된다는 압박에 작품의 본질을 놓치지 않았나 싶다”는 신창용은 많은 연주 활동을 하면서 원칙이 생겼다고 했다. 악보를 먼저 꼼꼼히 연구하고 작곡가의 의도와 표현을 구현하는 것이다. “작곡가는 작품을 왜 이렇게 썼을까, 어떤 소리를 내고 싶었을까, 여기서는 무엇을 느껴야 할까, 많이 연구하고 작곡가의 의도에 집중한다”고 부연했다.
그에게 개인적인 만족감과 성취감을 주는 게 독주회라면, 오케스트라 협연은 지휘자와 각각의 악기들이 호흡을 맞춰 음악을 완성하는 희열이 있다. 특히 1901년 초연된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2번은 서정성과 비극성이 공존하면서 한 줄기 희망을 비추는, 30여분 안에 기승전결이 다 담긴 명작으로 꼽는다. 교향곡 1번의 실패로 좌절하던 라흐마니노프를 구원한 이 작품은 124년이 지난 지금도 많은 이들의 마음에 가닿는다.
신창용은 “라흐마니노프의 화성 진행은 한 번 더, 한 번 더, 또 한 번 더 한 뒤에 마무리하는 식으로 이뤄져 그의 곡을 칠 때마다 무엇인가를 호소하는 듯한 감정을 느낀다”고 했다. 협주곡 2번에선 이런 특징이 1악장 도입부 8마디부터 드러난다. C단조로 가기 위해 오른손으로 도 화음을 여덟 번 치는데 이 안에서도 세밀한 화음 변화를 주고 점점 더 세게 끌어가다 이윽고 오케스트라와 섞이며 강렬한 선율로 휘몰아친다.
공연을 준비하는 그의 자세는 곡의 의미를 제대로 전달할 때 청중에게 감동을 줄 수 있다는 신념과도 맞닿아 있다. 연주가 끝난 뒤 ‘요즘 너무 힘들었는데 네 음악의 진심이 닿았다’거나 ‘네 연주에서 몇 번이나 위로받았다’는 관객들에게서 그 자신도 감동했던 기억이 많다. “관객 1000명을 모두 감동하게 할 수 없다는 걸 알아요. 그분들 중 단 몇 분이라도 연주에 위안을 얻었다면 그날 제 연주는 성공했다고 생각합니다.”
최여경 선임기자
2025-10-09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