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범식 박사, 장애 딛고 도보 대장정
광주 무등산~경주HICO 21일간 도보
감전사고로 양팔·오른쪽 다리 잃어
물·식염포도당으로 ‘온열과 전쟁’
이미지 확대
28일 오후 경북 경주시 보문교 삼거리 인근에서 만난 ‘왼발박사’ 이범식(왼쪽)씨와 아내 김봉덕씨.
28일 오후 경북 경주시 보문교 삼거리 인근에서 만난 ‘왼발박사’ 이범식(왼쪽)씨와 아내 김봉덕씨.
“잠깐 스치는 그늘조차 제겐 희망이었습니다.”
양팔과 오른쪽 다리를 잃고도 남은 왼발 하나로 400㎞를 걸어 낸 이가 있다. ‘왼발박사’로 불리는 이범식(61)씨. 지난 7일 광주 무등산에서 출발한 그는 21일간 이어진 고된 여정을 마무리하고 28일 오후 2시 마침내 경주화백컨벤션센터(HICO)에 도착했다. 도보 대장정을 마치기 직전, 경북 경주 보문교삼거리에서 만난 그는 “낯선 이들의 따뜻한 응원이 없었다면 끝까지 오기 어려웠을 것”이라며 굵은 땀방울 사이로 환한 미소를 지었다.
이번 여정은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의 성공 개최를 기원하기 위해 시작됐다. 이씨는 광주, 전북 순창, 남원, 경남 합천, 경북 고령, 대구, 영천 등을 거쳐 경주까지 총 400㎞를 걸었다. 폭염과 폭우 속을 걸으며 의족이 상해 갈아 끼우고, 피부가 곪기도 했지만 그는 포기하지 않았다.
“첫날 무리를 해서 근육통이 심했습니다. 지난 17일엔 고령 지릿재에서 폭우를 만났는데 산사태가 날까 두렵기도 했죠. 그래도 매일 4ℓ 넘는 물과 식염포도당을 챙겨 가며 몸을 관리했습니다.”
그는 1985년 전기공으로 일하던 중 감전 사고를 당해 양팔과 오른쪽 다리를 잃었다. 절망의 끝에서 그는 ‘배움’을 선택했고, 만학도의 길 끝에 대구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왼발 하나로 이뤄 낸 성취에 ‘왼발박사’란 별명이 붙었다.
가장 큰 버팀목은 단연 아내 김봉덕(59)씨였다. 그는 “여기까지 올 수 있었던 건 곁에서 끝까지 함께해 준 아내 덕분”이라며 묵묵히 곁을 지켜 준 동반자에게 깊은 감사를 전했다.
긴 여정 중 마주한 것은 매서운 뙤약볕만이 아니었다. 그는 “길을 걷다 보면 잠깐 스치는 그늘 하나가 그렇게 반가울 수 없었다”면서 “그늘을 지나면 다시 뜨거운 태양이 기다리지만 다음 그늘을 기대하며 계속 걸을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씨는 이번 대장정을 통해 우리 사회에 ‘희망의 사다리’를 놓고 싶다고 했다. “국가적인 행사를 앞두고 국민의 마음을 하나로 모으는 데 보탬이 되고 싶었습니다. 앞으로도 저만의 방식으로 희망을 전하겠습니다.”
글·사진 경주 김형엽 기자
2025-07-29 3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범식 박사, 장애 딛고 도보 대장정
광주 무등산~경주HICO 21일간 도보
감전사고로 양팔·오른쪽 다리 잃어
물·식염포도당으로 ‘온열과 전쟁’
이미지 확대
28일 오후 경북 경주시 보문교 삼거리 인근에서 만난 ‘왼발박사’ 이범식(왼쪽)씨와 아내 김봉덕씨.
28일 오후 경북 경주시 보문교 삼거리 인근에서 만난 ‘왼발박사’ 이범식(왼쪽)씨와 아내 김봉덕씨.
“잠깐 스치는 그늘조차 제겐 희망이었습니다.”
양팔과 오른쪽 다리를 잃고도 남은 왼발 하나로 400㎞를 걸어 낸 이가 있다. ‘왼발박사’로 불리는 이범식(61)씨. 지난 7일 광주 무등산에서 출발한 그는 21일간 이어진 고된 여정을 마무리하고 28일 오후 2시 마침내 경주화백컨벤션센터(HICO)에 도착했다. 도보 대장정을 마치기 직전, 경북 경주 보문교삼거리에서 만난 그는 “낯선 이들의 따뜻한 응원이 없었다면 끝까지 오기 어려웠을 것”이라며 굵은 땀방울 사이로 환한 미소를 지었다.
이번 여정은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의 성공 개최를 기원하기 위해 시작됐다. 이씨는 광주, 전북 순창, 남원, 경남 합천, 경북 고령, 대구, 영천 등을 거쳐 경주까지 총 400㎞를 걸었다. 폭염과 폭우 속을 걸으며 의족이 상해 갈아 끼우고, 피부가 곪기도 했지만 그는 포기하지 않았다.
“첫날 무리를 해서 근육통이 심했습니다. 지난 17일엔 고령 지릿재에서 폭우를 만났는데 산사태가 날까 두렵기도 했죠. 그래도 매일 4ℓ 넘는 물과 식염포도당을 챙겨 가며 몸을 관리했습니다.”
그는 1985년 전기공으로 일하던 중 감전 사고를 당해 양팔과 오른쪽 다리를 잃었다. 절망의 끝에서 그는 ‘배움’을 선택했고, 만학도의 길 끝에 대구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왼발 하나로 이뤄 낸 성취에 ‘왼발박사’란 별명이 붙었다.
가장 큰 버팀목은 단연 아내 김봉덕(59)씨였다. 그는 “여기까지 올 수 있었던 건 곁에서 끝까지 함께해 준 아내 덕분”이라며 묵묵히 곁을 지켜 준 동반자에게 깊은 감사를 전했다.
긴 여정 중 마주한 것은 매서운 뙤약볕만이 아니었다. 그는 “길을 걷다 보면 잠깐 스치는 그늘 하나가 그렇게 반가울 수 없었다”면서 “그늘을 지나면 다시 뜨거운 태양이 기다리지만 다음 그늘을 기대하며 계속 걸을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씨는 이번 대장정을 통해 우리 사회에 ‘희망의 사다리’를 놓고 싶다고 했다. “국가적인 행사를 앞두고 국민의 마음을 하나로 모으는 데 보탬이 되고 싶었습니다. 앞으로도 저만의 방식으로 희망을 전하겠습니다.”
글·사진 경주 김형엽 기자
2025-07-29 3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